궁중기록화관 개관

"저고리(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견마기 |한자표기= 肩亇只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복식구...)
 
3번째 줄: 3번째 줄:
 
|이미지=  
 
|이미지=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견마기
+
|대표명칭= 저고리
|한자표기= 肩亇只
+
|한자표기= 赤古里
|이칭별칭= 곁마기, 겻마기[旁障衣]
+
|이칭별칭=  
|복식구분= 관 및 쓰개
+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스란치마]]
+
|관련복식= [[저고리(남성)|저고리]], [[행전]]
 
|필드수= 7
 
|필드수= 7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의례용, 외출용 저고리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
+
두 다리를 꿰는 가랑이가 있는 아랫도리 옷의 하나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32쪽.</ref>
  
 
==내용==
 
==내용==
 
===복식구성===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일반 부녀자 등이 착용한다.
+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착용상황===
외출용 웃옷으로 일상적인 [[저고리(여성)|저고리]] 위에 착용하였다. 소례복(小禮服)인 [[당의]]보다는 아래급의 예복이다.<ref>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ref>
+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한다.
  
 
===형태===
 
===형태===
조선 전기 유물로 볼때, 장저고리(당의)와 단저고리의 중간 길이에 해당된다. 본래 곁마기는 길이가 길어서 겨드랑이 아래 쪽 옆선 부분인 곁이 막혔다는 의미의 곁막이라는 말에서 생성된 명칭이다. 요즈음 곁막이 또는 곁마기라는 용어는 옷의 명칭으로 보다는 저고리 겨드랑이 부분의 이색 장식 조각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81쪽.</ref><br/>
+
임진왜란 이전에는 남녀 모두 사타구니 앞뒤로 트임이 있는 개당고와 트임이 없이 막힌 합당고를 입었다. 개당고와 함당고의 두 양식을 합쳐서 입기 편하게 만든 세 가랑이 바지도 출토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남자의 바지는 중국 바지인 당고(唐袴)로 변화되었다. 당고란 지금 우리의 남자 한복바지인 사폭바지이다. 사폭바지는 허리띠와 대님을 사용하였으며 종아리에 대님 대신 [[행전]]을 치기도 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32쪽.</ref>
견마기는 시류에 따라 옷 모양에 변화를 보여 조선 초중기에는 길이 60~70㎝ 내외의 옆막힘 저고리 형태였던 것이 조선 후기에는 점차 짧아지고 금박으로 장식을 더하여 화려한 형태로 변화되었다.<br/>
 
자주색이나 초록색을 사용하였으며 소매에는 [[당의]]와 같이 흰 거들지를 달았다.<ref>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34쪽.</ref>
 
  
 
===기타===
 
===기타===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6번째 줄: 35번째 줄: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스란치마]] || A는 B에 착용한다
+
|'''{{PAGENAME}}'''  || [[]] || A는 B에 착용한다
 
|-
 
|-
|'''{{PAGENAME}}'''  || [[악학궤범]]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시간정보===
 
===시간정보===

2017년 6월 8일 (목) 16:52 판


저고리
(赤古里)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저고리
한자표기 赤古里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두 다리를 꿰는 가랑이가 있는 아랫도리 옷의 하나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 모든 신분이 귀천 없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한다.

형태

임진왜란 이전에는 남녀 모두 사타구니 앞뒤로 트임이 있는 개당고와 트임이 없이 막힌 합당고를 입었다. 개당고와 함당고의 두 양식을 합쳐서 입기 편하게 만든 세 가랑이 바지도 출토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남자의 바지는 중국 바지인 당고(唐袴)로 변화되었다. 당고란 지금 우리의 남자 한복바지인 사폭바지이다. 사폭바지는 허리띠와 대님을 사용하였으며 종아리에 대님 대신 행전을 치기도 한다.[2]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저고리(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저고리(남성)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저고리(남성)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저고리(남성) A는 B에 착용한다
저고리(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32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3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