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천칠봉-경지정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천칠봉]]
 
|작가= [[천칠봉]]
 
|제작연도= 1973년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유형= 경제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소장처= 미상
|필드수=7
+
|필드수=8
 
}}
 
}}
  
=='''개요'''==
+
=='''정의'''==
[[파일:천칠봉-경지정리-1973s.jpg|800px|center]]
+
질서없이 방치되어 있던 경지가 [[새마을운동]]열기와 정부의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질서정연하게 변해버린 모습
질서없이 방치되어 있던 경지가 새마을운동의 열기와 정부의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질서정연하게 변해버린 모습
 
<br/>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br/>
+
===작품 소재===
<br/>
+
경지정리란 농업상의 토지이용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실시되는 토지및 농업용수이용의 합리화를 위한 제반 사업을 가르키는 말로 토지개량이라고도 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2110009920102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12-11&officeId=00009&pageNo=1&printNo=1464&publishType=00020 경지정리
 +
]", 『매일경제』, 1970년 12월 11일.</ref><br/>
 +
우리나라는 산악이 많고 구투 면적의 2/3가 산지로 논밭의 큭와 모양이 불규칙하고,  농가별 소유형태가 분산되엉 ㅣㅆ어 합리적인 농업경영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농경지를 소유자별로 집단화하고, 불규칙한 모양의 논배미를 표준화하여, 농로·용수로·배수로가 논배미와 연결되게 하여 각종 영농장비의 출입, 농약·비료·퇴비·농산물 등 영농자재의 운반, 관개 및 배수 등의 물관리와 기타 영농관리를 원활하게 하려는 데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2943 경지정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1일.</ref><br/>
 +
1970년 1월 [[농촌근대화촉진법]]의 제정공포에 의거, 사업비의 50 % 국고보조에 수반한 정부의 지도감독강화 및 외국차관자금에 의한 금강(錦江)·평택(平澤)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 구역 내의 경지정리사업과의 대비 등으로 사업내용의 내실화를 기하게 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350 경지정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11일.</ref><br/>
 +
 
 +
===작품 배경===
 +
경지정리로 기계화 영농이 가능해진 충청남도 논산 들녘에서 가을걷이를 하는 풍경이다.
 +
 
 +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천칠봉-경지정리-1973s.jpg|center|900px
 +
poly 694 346 514 337 438 398 442 502 536 506 667 494 745 506 791 510 783 410 785 326 761 266 690 262 [[트랙터]]
 +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민족기록화 1차 경제편 (1973년 4월~1974년 12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파일:김형구-고리원자력발전소-1973s.jpg |[[김형구-고리원자력발전소]]
+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파일:이의주-호남정유-1973s.jpg |[[이의주-호남정유]]
+
파일:이동훈-환경정리새마을-1973s.jpg |[[이동훈-환경정리새마을]]
파일: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1973s.jpg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파일: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1975s.jpg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파일:오승우-포항종합제철-1973s.jpg |[[오승우-포항종합제철]]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파일: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박득순-현대조선소]]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파일:김숙진-한국비료-1973s.jpg |[[김숙진-한국비료]]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 |[[하인두-동명목재]]
 
파일:김종하-한일합섬-1973s.jpg |[[김종하-한일합섬]]
 
파일:김원-마산공업단지-1973s.jpg |[[김원-마산공업단지]]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파일:박광진-소양강댐-1973s.jpg |[[박광진-소양강댐]]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파일:이마동-감귤-1973s.jpg |[[이마동-감귤]]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파일: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천칠봉-경지정리]]
 
파일: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천칠봉-경지정리]]
 +
파일:천칠봉-대단위뽕밭-1975s.jpg |[[천칠봉-대단위뽕밭]]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파일: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이용환-굴뗏목양식]]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gallery>
 
</gallery>
 +
<br/><br/>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천칠봉]]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
 +
|{{PAGENAME}} || [[경지정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추출정보'''==
+
=='''시간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html>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경지정리.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1973년 || [[천칠봉]]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천칠봉]]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PAGENAME}}||제작연도|| 1973년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소장처|| 1991년
+
|37.393310 || 127.053596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그래프'''==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경지정리/경지정리.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참고문헌'''==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br/>
 
<br/>
  

2017년 5월 21일 (일) 18:36 판


천칠봉-경지정리
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작가 천칠봉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질서없이 방치되어 있던 경지가 새마을운동의 열기와 정부의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 추진으로 질서정연하게 변해버린 모습

설명

작품 소재

경지정리란 농업상의 토지이용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실시되는 토지및 농업용수이용의 합리화를 위한 제반 사업을 가르키는 말로 토지개량이라고도 한다.[1]
우리나라는 산악이 많고 구투 면적의 2/3가 산지로 논밭의 큭와 모양이 불규칙하고, 농가별 소유형태가 분산되엉 ㅣㅆ어 합리적인 농업경영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농경지를 소유자별로 집단화하고, 불규칙한 모양의 논배미를 표준화하여, 농로·용수로·배수로가 논배미와 연결되게 하여 각종 영농장비의 출입, 농약·비료·퇴비·농산물 등 영농자재의 운반, 관개 및 배수 등의 물관리와 기타 영농관리를 원활하게 하려는 데 있다.[2]
1970년 1월 농촌근대화촉진법의 제정공포에 의거, 사업비의 50 % 국고보조에 수반한 정부의 지도감독강화 및 외국차관자금에 의한 금강(錦江)·평택(平澤)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 구역 내의 경지정리사업과의 대비 등으로 사업내용의 내실화를 기하게 되었다.[3]

작품 배경

경지정리로 기계화 영농이 가능해진 충청남도 논산 들녘에서 가을걷이를 하는 풍경이다.

시각적 안내

트랙터천칠봉-경지정리-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천칠봉 천칠봉-경지정리 A는 B를 그렸다 1973년
천칠봉-경지정리 경지정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천칠봉이 천칠봉-경지정리를 제작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천칠봉-경지정리를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3310 127.053596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천칠봉-경지정리를 대여하였다.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주석

  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2110009920102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12-11&officeId=00009&pageNo=1&printNo=1464&publishType=00020 경지정리 ]", 『매일경제』, 1970년 12월 11일.
  2. "경지정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1일.
  3. "경지정리",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