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면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대표명칭= 너울[羅兀] |이칭별칭= |착용시대= 조선 |착용신분= 궁중 |착용성별= 여성 |착용연...)
 
2번째 줄: 2번째 줄: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이미지=  
|대표명칭= 너울[羅兀]
+
|대표명칭= 면사(面紗)
 
|이칭별칭=  
 
|이칭별칭=  
|착용시대= 조선
+
|복식구분= 쓰개
 
|착용신분= 궁중
 
|착용신분= 궁중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착용연령= 성인
+
|관련복식= [[대수]], [[적의]]
|복식구분= 쓰개
 
|복식구성=
 
|관련복식= 립(笠)
 
 
|필드수= 10
 
|필드수= 10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상류층 여자들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 쓰개이다.
+
조선시대 상류층 여자들의 얼굴을 가리는 내외용 쓰개이다. 얼굴[면(面)]을 가리는 사(紗) 직물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3쪽.</ref>
  
 
=='''내용'''==
 
=='''내용'''==
23번째 줄: 20번째 줄:
  
 
===착용상황===
 
===착용상황===
왕실: [[가례]]의례용이나 능행 등의 외출 시 사용한다. <br/>
+
왕실: [[가례]]시와 같이 의례용이나 외출시 사용한다. <br/>
궁녀: 내전에서 거동할 때 착용한다.  
+
민간: 혼례에 허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형태===
 
===형태===
[[립]] 위에 얹어 어깨를 가릴 정도의 길이이며, 꼭대기에 3~4개의 꽃장식을 달았다.
+
사각 보자기 모양이며 금박으로 길상 무늬를 입혀 장식한다.
 +
대수 위에 얹어 어깨를 가릴 정도의 길이이다.
  
 
===기타===
 
===기타===
고려시대의 [[몽수|몽수(蒙首)]]보다 길이가 조금 짧은 형태이다.  
+
대비 이하 세손빈은 자적색 면사를 쓰고, 숙의·공주·옹주는 남색을 쓴다.
 +
전해지는 유물들은 흑색이다.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5월 18일 (목) 18:13 판


면사(面紗)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면사(面紗)
착용신분 궁중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상류층 여자들의 얼굴을 가리는 내외용 쓰개이다. 얼굴[면(面)]을 가리는 사(紗) 직물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1]

내용

착용신분

상류층 부녀자들이 착용 하였다.

착용상황

왕실: 가례시와 같이 의례용이나 외출시 사용한다.
민간: 혼례에 허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형태

사각 보자기 모양이며 금박으로 길상 무늬를 입혀 장식한다. 대수 위에 얹어 어깨를 가릴 정도의 길이이다.

기타

대비 이하 세손빈은 자적색 면사를 쓰고, 숙의·공주·옹주는 남색을 쓴다. 전해지는 유물들은 흑색이다.

관련항목

의궤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궤 면사 A는 B를 보여준다
상방정례 면사 A는 B를 보여준다

인물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비 면사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자비 면사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손빈 면사 A는 B를 착용한다
궁녀 면사 A는 B를 착용한다


참고문헌

김아람(2012),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