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대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착용상황)
(기본정보)
33번째 줄: 33번째 줄:
 
*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영친왕비의 대수가 있음.
 
*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영친왕비의 대수가 있음.
 
* 사진자료로는 순정효황후와 영친왕비가 적의에 의왕비가 대례복으로 착용한 원삼에 대수를 한 모습을 볼 수 있음.
 
* 사진자료로는 순정효황후와 영친왕비가 적의에 의왕비가 대례복으로 착용한 원삼에 대수를 한 모습을 볼 수 있음.
 +
 +
==시각자료==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https://tv.naver.com/v/331077 조선시대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TV』<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3C06888214CAB698A8CC3DF026ACEB565A94&outKey=V12338265d4119ea55dd8021dc9e8493b209913ab02872d24880f021dc9e8493b2099&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fals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4월 29일 (토) 22:36 판


대수(大首)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대수(大首)
이칭별칭 -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정의

  • 조선 전기에는 왕비의 대례복으로 명나라에서 사여 받은 적의적관을 착용하였으나, 임진·병자 양란 이후 소실되었고, 이후 궁중의 제도를 정비하면서 적관(翟冠)을 구비할 수 없게 되자 국속에 따라 마련한 머리 장식.[1]

복식구성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상황

  •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2] 등 착용.

형태[3]

  • 머리통 전체를 덮는 가발처럼 형태를 만들어 직접 머리에 쓰도록 한 것.
  • 위가 높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넓게 퍼지는 삼각형 모양.
  • 어깨까지 넓게 펼쳐진 머리의 양쪽 끝에는 봉황 비녀를 꽂아 좌우로 팽팽하게 뻗치도록 하였고, 앞머리에는 떨잠비녀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
  • 뒤는 두 갈래로 머리를 땋아서 하나는 쪽을 지어 비녀를 꽂았고, 나머지는 새앙머리와 같이 둥글게 밑으로 말아 올려서 자색 댕기로 장식.

기타

  •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영친왕비의 대수가 있음.
  • 사진자료로는 순정효황후와 영친왕비가 적의에 의왕비가 대례복으로 착용한 원삼에 대수를 한 모습을 볼 수 있음.

시각자료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조선시대 - 대수머리",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관련항목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35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35~2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