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영문 = |이칭 = |지정번호...)
 
(소개)
14번째 줄: 14번째 줄:
  
 
=소개=
 
=소개=
[[고려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무위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이다.  국보 제13호이다.  
  
[[고려 선각대사(先覺大師) 형미(逈微)|선각대사]]는 신라 말의 명승으로, 당나라에 건너가서 14년만에 돌아와 [[강진 무위사|무위사]]에 8년간 머물렀다. [[고려 태조]] 원년(918)에 54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편광영탑(遍光靈塔)’이라 하였다. <ref>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2016.12.22 확인</ref>
+
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
<ref>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이 비문은 946년(開運 3年)에 [[최언위(崔彦撝)]]가 왕명을 받아 짓고, [[류훈진(柳勳律)]]이 썻다. 그러나 상고해 보면, [[고려 최언위|최언위]]는 944년 12월에 사망하였으니 비문을 짓기 2년 전에 이미 죽은 셈이다. 비문에 의하면 선각대사는 864년에 출생하고 917년에 54세로 입적하였는데, 다음 해인 918년에 시호와 탑호를 사하고 [[고려 최언위|최언위]]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게 하였으나 비를 세우는 것이, 비문을 짓는 것 보다 28년 후에 해당하므로 아마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초기여서 미처 비를 세울 겨를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 된다.<ref>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ref>
 
  
 
=비문=
 
=비문=

2016년 12월 27일 (화) 13:08 판

틀:문화유산정보

소개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무위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이다. 국보 제13호이다.

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1]

비문

한국 금석문 종합영상정보 서비스를 참조해 주세요.

비문 내용에서 확인되는 지식노드

관련 지식정보 노드

노드 관계 노드 설명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를 주인공으로 하다 선각대사 형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선각대사 형미의 행적을 담고 있다.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에 있다 강진 무위사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는 강진 무위사에 있다.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의해 작성되다 최언위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언위가 작성하였다.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의해 작성되다 유훈율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유훈율이 글씨를 썼다.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의해 작성되다 김문윤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김문윤이 각자했다.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의해 작성되다 최한규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비문은 최한규가 각자했다.

각주

  1.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
  2.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3.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4.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5.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6.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7.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 고려편1 -, 가산문고, 1994, p. 320.
  8. 도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807, 2016년 12월 22일 확인
  9. 진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862, 2016년 12월 22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