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전행웃치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대표명칭= 전행웃치마 |이칭별칭= -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복식구분= 의복 |관련...)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 전행웃치마는 명의 제도에는 없는 것이지만 조선에서는 남자의 예복 중 [[중단]] 위에 앞 3폭, 뒤 4폭의 [[상(왕실남성) | 상(裳)]]을 갖추듯이 [[적의 | 적의(翟衣)]]나 [[원삼 |  원삼(圓衫)]] 등 대례복을 입을 때 앞 3폭, 뒤 4폭의 전행웃치마를 갖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32쪽.</ref>
+
* 명(明)의 제도에는 없는 것이지만 조선에서 남자의 예복 일습 중 [[중단]] 위에 앞 3폭, 뒤 4폭의 [[상(왕실남성) | 상(裳)]]을 갖추듯이 [[적의 | 적의(翟衣)]]나 [[원삼 |  원삼(圓衫)]] 등<ref>김소현, 『아름다운 시작』,「조선왕실의 적의」,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74쪽.</ref> 예복을 차림을 할 때 대란치마 위에 갖추어 입는 세 가닥 치마임.
  
 
==복식구성==
 
==복식구성==
21번째 줄: 21번째 줄:
 
===착용신분===
 
===착용신분===
 
* 왕실여성([[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공주, 옹주, 대군부인, 군부인 등)
 
* 왕실여성([[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공주, 옹주, 대군부인, 군부인 등)
* 정4품 이상 정처[정실부인]
 
  
 
===착용상황===
 
===착용상황===
* 왕실: [[혼례]][[친영]] 의례 등이 이루어질 때 착용함.
+
* 왕실여성들이 [[적의 | 적의(翟衣)]][[원삼 |  원삼(圓衫)]]을 착용할 함께 착용함.
* 정4품 이상 정처: 길을 갈 때 착용함.
 
  
===형태===
 
* 중간에 3폭, 좌·우 2폭씩 각각 연결하여 주름을 위에서 아래까지 잡음.
 
* 뒤에서 여며 입게 되면 앞에 3폭, 뒤 4폭이 되어 남자의 의례용 상과 유사한 형태가 됨.
 
  
 +
===형태<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ref>===
 +
* 앞의 1자락과 뒤의 2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붙임.
 +
* 앞의 1자락은 직물 3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2자락은 각각 2폭을 붙여 만듬.
 +
*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시 뒤의 2자락이 바닥에 끌림.
 +
* 치마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줌.
 +
*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음.
  
 
===기타===
 
===기타===
*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
* 조선후기 기록에는 전행웃치마의 색이 남색 계열만 기록되어 있음.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8쪽.</ref>
*『계사시월가례시의복발긔』에 군부인의 '다홍별문단부금원앙노의'라는 기록을 토대로 청연군주 노의에 찍혀 있는 금원문이 원앙임을 알 수 있음.
 
* 왕실 여성 노의의 색은 모두 홍색.
 
  
 
==관련항목==
 
==관련항목==
41번째 줄: 40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주석==
 
==주석==

2017년 4월 26일 (수) 23:41 판


전행웃치마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전행웃치마
이칭별칭 -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정의

  • 명(明)의 제도에는 없는 것이지만 조선에서 남자의 예복 일습 중 중단 위에 앞 3폭, 뒤 4폭의 상(裳)을 갖추듯이 적의(翟衣) 원삼(圓衫)[1] 예복을 차림을 할 때 대란치마 위에 갖추어 입는 세 가닥 치마임.

복식구성

허리말기, 허리끈, 치마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상황


형태[2]

  • 앞의 1자락과 뒤의 2자락을 따로 만들어 하나의 허리말기에 이어붙임.
  • 앞의 1자락은 직물 3폭을 붙여 만들고, 뒤의 2자락은 각각 2폭을 붙여 만듬.
  •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어서 착용시 뒤의 2자락이 바닥에 끌림.
  • 치마자락의 위에서 아래까지 주름을 잡아줌.
  • 중하부에 금사를 넣어 짠 스란단이 달려 있음.

기타

  • 조선후기 기록에는 전행웃치마의 색이 남색 계열만 기록되어 있음. [3]

관련항목

참고문헌

주석

  1. 김소현, 『아름다운 시작』,「조선왕실의 적의」,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0, 174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42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