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세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1번째 줄: 21번째 줄:
 
</noinclude>
 
</noinclude>
  
==개요==
+
==정의==
 
1632년에 명나라 [[육인룡]](陸人龍)이 지은 백화 단편소설집 '[[형세언]]'을 번역한 소설이다.
 
1632년에 명나라 [[육인룡]](陸人龍)이 지은 백화 단편소설집 '[[형세언]]'을 번역한 소설이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번역된 것은 [[장서각]]본이 유일하며, [[낙선재]]문고의 하나였다. 제목인 [[형세언]]은 '세상을 바로잡는 이야기'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사라지고 제목만 전해져왔는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한문본 실물이 발견되어 비로소 전모가 알려졌다. 장서각본은 낙질되어 권3-6의 4책만 남아 있지만 '[[형세언]]'의 최초 번역으로 조선의 도서 수입과 번역 및 유통 상황을 알려준다. 장서각본은 작품을 의사(의사), 의녀(의녀), 패행(패행), 명장(명장)으로 분류하여 '육중함전(육중함전)', '임상보전(임상보전)', '요거인전(요거인전)', '이무선전(이무선전)', '왕면전(왕면전)', '심이모전(심이모전)', '진봉의전(진봉의전)', '경식전(경식전)', '심실전(심실전)', '왕계란전(왕계란전)', '왕취요전(왕취요전)', '석박전(석박전)', '쥬개전(쥬개전)', '항신신전(항신신전)', '심희의전(심희의전)' 등 총 15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필사 시기는 미상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64쪽.</REF>
 
번역된 것은 [[장서각]]본이 유일하며, [[낙선재]]문고의 하나였다. 제목인 [[형세언]]은 '세상을 바로잡는 이야기'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사라지고 제목만 전해져왔는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한문본 실물이 발견되어 비로소 전모가 알려졌다. 장서각본은 낙질되어 권3-6의 4책만 남아 있지만 '[[형세언]]'의 최초 번역으로 조선의 도서 수입과 번역 및 유통 상황을 알려준다. 장서각본은 작품을 의사(의사), 의녀(의녀), 패행(패행), 명장(명장)으로 분류하여 '육중함전(육중함전)', '임상보전(임상보전)', '요거인전(요거인전)', '이무선전(이무선전)', '왕면전(왕면전)', '심이모전(심이모전)', '진봉의전(진봉의전)', '경식전(경식전)', '심실전(심실전)', '왕계란전(왕계란전)', '왕취요전(왕취요전)', '석박전(석박전)', '쥬개전(쥬개전)', '항신신전(항신신전)', '심희의전(심희의전)' 등 총 15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필사 시기는 미상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64쪽.</REF>
  
==관련항목==
+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인물 ||육인룡
+
|[[육인룡]] || {{PAGENAME}} || A는 B를 저술했다 || 1632년
 
|-
 
|-
|{{PAGENAME}} || 공간 ||낙선재
+
|육중함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PAGENAME}} || 공간 ||규장각
+
|임상보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요거인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이무선전 ||
 +
|-
 +
|왕면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심이모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진봉의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경식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심실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왕계란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왕취요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석박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쥬개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황신산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심희의전 || {{PAGENAME}} || A는 B에 포함된다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1632년 || 육인룡이 {{PAGENAME}}을 저술했다.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37.39197||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서각에 {{PAGENAME}}이 소정되어 있다.
 
|}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17년 4월 25일 (화) 18:58 판

형세언
한글팀 형세언01.png
한자명칭 型世言
영문명칭 A translated novel of a short story Xingshiyan written by Yuk Inryong of the Ming dynasty
간행시기 조선 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4-6863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8.8×21.6㎝
판본 필사본
수량 4책
표기문자 한글



정의

1632년에 명나라 육인룡(陸人龍)이 지은 백화 단편소설집 '형세언'을 번역한 소설이다.

내용

번역된 것은 장서각본이 유일하며, 낙선재문고의 하나였다. 제목인 형세언은 '세상을 바로잡는 이야기'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사라지고 제목만 전해져왔는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한문본 실물이 발견되어 비로소 전모가 알려졌다. 장서각본은 낙질되어 권3-6의 4책만 남아 있지만 '형세언'의 최초 번역으로 조선의 도서 수입과 번역 및 유통 상황을 알려준다. 장서각본은 작품을 의사(의사), 의녀(의녀), 패행(패행), 명장(명장)으로 분류하여 '육중함전(육중함전)', '임상보전(임상보전)', '요거인전(요거인전)', '이무선전(이무선전)', '왕면전(왕면전)', '심이모전(심이모전)', '진봉의전(진봉의전)', '경식전(경식전)', '심실전(심실전)', '왕계란전(왕계란전)', '왕취요전(왕취요전)', '석박전(석박전)', '쥬개전(쥬개전)', '항신신전(항신신전)', '심희의전(심희의전)' 등 총 15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필사 시기는 미상이다. [1]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육인룡 형세언 A는 B를 저술했다 1632년
육중함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임상보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요거인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이무선전
왕면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심이모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진봉의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경식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심실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왕계란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왕취요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석박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쥬개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황신산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심희의전 형세언 A는 B에 포함된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32년 육인룡이 형세언을 저술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서각에 형세언이 소정되어 있다.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