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용환-굴뗏목양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
=='''개요'''==
 +
[[굴뗏목]] 양식을 이용한 굴 생산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설명'''==
[[굴뗏목]] 양식을 이용한 굴 생산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1970년 당시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양식 어업을 중점 개발 사업으로 삼았는데, 그 중에서도 굴양식은 어민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때 사용된 방법이 [[굴뗏목]] 양식인데, 대나무·쇠파이프 등으로 뗏목을 만들고 그 아래에 합성수지로 만든 뜸통을 달아서 부력을 크게 한 것에다 수하연<ref>垂下連. 양식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기를 꿴 줄</ref>을 매단 것이다. 이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굴 양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많이 쓰였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에는 재래 양식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하다며 각광받았으며 특히 남해안 충무 앞바다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사실과 연안의 모습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그림의 배경은 남해안 어딘가의 굴 양식장으로 보인다. 그림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기둥이 바로 [[굴뗏목]]이며, 오른편에는 대한종합식품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공장으로 가공하기 위해 굴을 정리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1970년대 어촌의 한때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1970년 당시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양식 어업을 중점 개발 사업으로 삼았는데, 그 중에서도 굴양식은 어민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때 사용된 방법이 [[굴뗏목]] 양식인데, 대나무·쇠파이프 등으로 뗏목을 만들고 그 아래에 합성수지로 만든 뜸통을 달아서 부력을 크게 한 것에다 수하연<ref>垂下連. 양식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기를 꿴 줄</ref>을 매단 것이다. 이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굴 양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많이 쓰였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에는 재래 양식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하다며 각광받았으며 특히 남해안 충무 앞바다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사실과 연안의 모습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그림의 배경은 남해안 어딘가의 굴 양식장으로 보인다. 그림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기둥이 바로 [[굴뗏목]]이며, 오른편에는 대한종합식품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공장으로 가공하기 위해 굴을 정리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1970년대 어촌의 한때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파일: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800px|center]]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center|900px
 +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농축수산/새마을 관련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농축수산/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파일: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1973s.jpg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31번째 줄: 34번째 줄: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파일: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이인영-삼화목장]]
 
파일: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이인영-삼화목장]]
파일: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1973s.jpg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파일: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이용환-굴뗏목양식]]
 
파일:김창락-원양어업-1975s.jpg |[[김창락-원양어업]]
 
파일:김창락-원양어업-1975s.jpg |[[김창락-원양어업]]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이용환]]
+
|[[이용환]]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굴뗏목양식]]
+
|{{PAGENAME}} || [[굴뗏목양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굴뗏목양식]] || [[굴뗏목]] || A는 B를 사용하였다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3년
+
|1973년 || [[이용환]]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PAGENAME}}||[[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대여기간 || 1991.01.15~1992.01.14
+
|1991년 1월 15일-1992월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392958 || 127.158241||{{PAGENAME}}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대여되었다.
 
|-
 
|-
|{{PAGENAME}}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37.392958|| 127.158241
+
|37.392958 || 127.158241||{{PAGENAME}}[[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소장되어 있다.
 
|}
 
|}
  
 
=='''그래프'''==
 
=='''그래프'''==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참고문헌'''==
 
=='''참고문헌'''==
* "남해안에 큰 굴공장", e-영상역사관, 대한뉴스 제 880호. [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812&mediadtl=6853 e-영상역사관 영상 보기] (2017년 2월 14일 확인)
+
*"[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812&mediadtl=6853 남해안에 큰 굴공장]", e-영상역사관 영상 보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뉴스』<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7일.
* "굴",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5%B4 위키백과 "" 페이지] (2017년 2월 14일 확인)
+
*"[https://ko.wikipedia.org/wiki/%EA%B5%B4 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7일.
  
 
=='''주석'''==
 
=='''주석'''==

2017년 4월 17일 (월) 23:04 판


굴뗏목양식
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작가 이용환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수산
분류 유화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개요

굴뗏목 양식을 이용한 굴 생산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1970년 당시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양식 어업을 중점 개발 사업으로 삼았는데, 그 중에서도 굴양식은 어민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때 사용된 방법이 굴뗏목 양식인데, 대나무·쇠파이프 등으로 뗏목을 만들고 그 아래에 합성수지로 만든 뜸통을 달아서 부력을 크게 한 것에다 수하연[1]을 매단 것이다. 이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굴 양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많이 쓰였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에는 재래 양식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하다며 각광받았으며 특히 남해안 충무 앞바다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사실과 연안의 모습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그림의 배경은 남해안 어딘가의 굴 양식장으로 보인다. 그림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기둥이 바로 굴뗏목이며, 오른편에는 대한종합식품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공장으로 가공하기 위해 굴을 정리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1970년대 어촌의 한때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시각적 안내

이용환-굴뗏목양식-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용환 이용환-굴뗏목양식 A는 B를 그렸다 1973년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이용환-굴뗏목양식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이용환-굴뗏목양식 굴뗏목양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굴뗏목양식 굴뗏목 A는 B를 사용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이용환이 이용환-굴뗏목양식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15일-1992월 1월 14일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이용환-굴뗏목양식를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2958 127.158241 이용환-굴뗏목양식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대여되었다.
37.392958 127.158241 이용환-굴뗏목양식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소장되어 있다.

그래프

참고문헌

  • "남해안에 큰 굴공장", e-영상역사관 영상 보기, 『대한뉴스』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7일.
  • "", 『위키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7일.

주석

  1. 垂下連. 양식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기를 꿴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