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암 도갑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찰정보 |사진=도갑사.JPG |대표명칭=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영문명칭= |문화재지정=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소재지=전라남도 영...)
 
1번째 줄: 1번째 줄:
{{사찰정보
+
{{승탑비문 Top icon}}
 +
{{사찰사지정보
 
|사진=도갑사.JPG
 
|사진=도갑사.JPG
|대표명칭=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대표명칭=영암 도갑사
|영문명칭=
+
|영문=Dogapsa Temple, Yeongam
|문화재지정=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한자=靈巖 道岬寺
|소재지=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
|이칭=
 +
|지정번호=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지정일=1984년 02월 29일
 +
|주소=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
|위도=34.7533405
 
|경도=126.662268
 
|경도=126.662268
|위도=34.7533405
 
 
|소유자=도갑사
 
|소유자=도갑사
 
|관리자=도갑사
 
|관리자=도갑사
|교구정보=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大興寺)의 말사
+
|교구정보=[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시대=신라
+
|건립시기=신라시대
|창건자=[[도선(道詵)]]
+
|창건자=[[도갑]]
|경내문화재=도갑사도선국사진영(道岬寺道詵國師眞影)<br/>도갑사석조(道岬寺石槽)<br/>도갑사수미왕사비(道岬寺守眉王師碑)<br/>도갑사수미왕사진영(道岬寺守眉王師眞影)<br/>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靈巖 道岬寺 木造文殊·普賢童子像)<br/>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靈巖 道岬寺 石造如來坐像)<br/>영암 도갑사 오층석탑(靈巖 道岬寺 五層石塔)<br/>영암 도갑사 해탈문(靈巖 道岬寺 解脫門)<br/>
+
|경내문화재=[[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영암 도갑사 석조]],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영암 도갑사 석장승]],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
|필드수=10
 
}}
 
}}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月出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ref>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도갑사,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ref>
 
  
 +
=='''정의'''==
 +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月出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의 말사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479 도갑사]", 정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4월 10일.</ref>
 +
 +
 +
 +
=='''개요'''==
 +
성주사(聖住寺)는 신라 말 [[구산선문|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로, 한때는 2,000여 명의 승려가 머물며 수도하던 전국 최고의 절로 손꼽히던 곳이다.<ref>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110&cid=42865&categoryId=42865 성주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통일신라 말기에 유행한 [[선종]]은 어려운 불경을 모르더라도 수양을 잘하기만 하면 마음속에 있는 불성을 깨달을 수 있다고 하는 불교 종파이다. 그리하여 많은 백성의 지지를 받아 크게 유행하였고, [[선종]] 불교의 큰 중심지 절이 전국에 9개가 세워졌는데, 이를 [[구산선문]]이라고 한다. 이 전국 [[구산선문]] 중의 하나가 성주산문(聖住山門)이며 그 중심지가 성주사이다. 특히 성주산문은 [[구산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고 많은 승려를 배출한 최대의 산문이었으며, [[무염|낭혜]]는 당시 최고의 선종 승려였다. 성주사는 조선 시대에 임진왜란을 겪으며 쇠퇴하다가 17세기말 폐사되었고, 지금은 그 터와 많은 유물이 남아 있어 옛 성주사의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C%A3%BC%EC%82%AC%EC%A7%80 성주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수정일:2016년 7월 26일.</ref>
 +
 +
===역사===
 +
성주사(聖住寺)는 백제 때 오합사(烏合寺)로 불리다가 승려 [[무염|낭혜]]이 오합사로 오면서 절이 크게 중창되었고 그에 따라 통일신라 문선왕 때에 성주사로 개칭된 것이다. 『숭암산 성주사 사적』(崇巖山 聖住寺 事蹟)에 따르면 오합사는 성주사의 전신인데 백제 [[법왕]]이 599년에 전쟁에서 죽은 병사들의 원혼을 위무하려는 뜻에서 세운 절이라고 한다. 따라서 오합사는 백제왕실에서 매우 중히 여긴 절이었던 듯하다.
 +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 오합사는 백제 멸망과 관련된 불우한 이야기를 간직한 절이다. 『삼국사기』에는 의자왕 15년 5월에 “흰말이 북악에 있는 오합사에 들어가서 불우(佛宇)를 돌며 울다가 며칠 만에 죽었다”는 기록이 있고 『삼국유사』에도 의자왕 19년에 “오합사에 큰 붉은말이 있어 밤낮 여섯 시에 사원을 돌았다”고 쓰어 있다. 이미 1960년대에도 간간이 나오는 백제 기와조각들 때문에 오합사로 추정되어 왔으며 본격적인 발굴에서는 백제 시대 기와조각들이 더욱 많이 출토되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795&cid=42840&categoryId=42852 성주사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
신라 말의 학자인 [[최치원|최치원(崔致遠)]]이 [[낭혜]]를 기념하며 쓴 비가 바로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낭혜화상부도비(郞慧和尙浮屠碑)]]이다. 신라시대 부도비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이 부도비에는 최치원이 지은 5,000여 자의 글씨가 몸체에 새겨져 있다.<ref>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8110&cid=42865&categoryId=42865 성주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
===명칭유래===
 +
[[낭혜|무염국사(無染國師)]]가 이 절에 있었기에 그를 성인(聖人)으로 보고, 성인이 주석한 절이니 ‘성주사(聖住寺)’라 이름을 붙였으며 산도 마을도 그에 따라 이름이 바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795&cid=42840&categoryId=42852 성주사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f>
 +
 +
=='''동영상'''==
 +
* 박오덕, "[https://www.youtube.com/watch?v=YQUIa57v3yw [우리동네 TV] 보령 성주사지]", YouTube, 게시일: 2016년 10월 5일. 2017년 4월 12일 확인.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QUIa57v3yw"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599년 || 백제 법왕에 의해 오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
|-
 +
|845년 || [[낭혜]]가 오합사의 주지가 되어 크게 중창하였다.
 +
|-
 +
| || 신라 문성왕 때 오합사에서 성주사로 개명되었다.
 +
|-
 +
|888년 || [[낭혜]]가 성주사에서 입적하였다.
 +
|-
 +
|임진왜란기 || 보령 성주사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다.
 +
|-
 +
|1984년  || 사적 제 307호로 지정되었다.
 +
|}
  
==관련정보==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node!!relation!!node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도갑사도선국사진영(道岬寺道詵國師眞影)]]||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도갑사석조(道岬寺石槽)]]||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도갑사수미왕사비(道岬寺守眉王師碑)]]||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도갑사수미왕사진영(道岬寺守眉王師眞影)]]||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靈巖 道岬寺 木造文殊·普賢童子像)]]||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석등]]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靈巖 道岬寺 石造如來坐像)]]||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靈巖 道岬寺 五層石塔)]]||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 있다 ||
 
|-
 
|-
|[[영암 도갑사 해탈문(靈巖 道岬寺 解脫門)]]||는 -에 있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낭혜]]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도선(道詵)]]||은 -을 창건하였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의 말사이다||[[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최인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낭혜]] || 보령 성주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보령 성주사지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성주산문]] || [[구산선문]] || A는 B에 포함된다 ||
 +
|-
 +
|[[성주산문]] || [[선종]] || A는 B에 포함된다 ||
 
|-
 
|-
|[[신미(信眉)]], [[수미(守眉)]]||은 -을 중건하였다||[[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
  
==참고자원==
+
=='''주석'''==
===사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범우고(梵宇攷)』
 
 
 
===단행본===
 
*『전통사찰총서 6·전남의 전통사찰Ⅰ·』(사찰문화연구원, 1996)
 
*『한국사찰전서』상(上)(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도갑사』(목포 대학교 박물관, 2001)
 
 
 
===논문===
 
* 최성렬, 「월출산 도갑사 사적비 건립의 제연기」, 『인문학 연구』Vol.32, 2004, 265-285쪽.
 
 
 
 
 
===웹자원===
 
====사료 및 자료====
 
*[http://www.dogapsamuseum.org/ 도갑사성보박물관]
 
 
 
 
 
====사전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2658&cid=40942&categoryId=31548 두산백과, 도갑사]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도갑사]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0790000,36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도갑사 (道岬寺)]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299&cid=50292&categoryId=50292 시공 불교사전, 도갑사]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A%B0%91%EC%82%AC 위키백과, 도갑사]
 
*[http://yeongam.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ngam&dataType=01&contents_id=GC04401275 디지털영암문화대전, 도갑사]
 
 
 
 
 
====개별 웹 페이지====
 
*[http://www.dogapsa.org/ 월출산 도갑사]
 
 
 
 
 
 
 
==시각자료==
 
===VR===
 
<html>
 
<iframe width="800" height="500" src="http://digerati.aks.ac.kr/Pavilions/tour2016-10/site_01/site_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전라남도 영암군]]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2017년 4월 12일 (수) 21:10 판


영암 도갑사
(靈巖 道岬寺)
대표명칭 영암 도갑사
한자 靈巖 道岬寺
주소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8
문화재 지정번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문화재 지정일 1984년 02월 29일
소유자 도갑사
관리자 도갑사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신라시대
창건자 도갑
경내문화재 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영암 도갑사 도선수미비, 영암 도갑사 석조,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영암 도갑사 석장승,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月出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의 말사이다.[1]


개요

성주사(聖住寺)는 신라 말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로, 한때는 2,000여 명의 승려가 머물며 수도하던 전국 최고의 절로 손꼽히던 곳이다.[2] 통일신라 말기에 유행한 선종은 어려운 불경을 모르더라도 수양을 잘하기만 하면 마음속에 있는 불성을 깨달을 수 있다고 하는 불교 종파이다. 그리하여 많은 백성의 지지를 받아 크게 유행하였고, 선종 불교의 큰 중심지 절이 전국에 9개가 세워졌는데, 이를 구산선문이라고 한다. 이 전국 구산선문 중의 하나가 성주산문(聖住山門)이며 그 중심지가 성주사이다. 특히 성주산문은 구산선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컸고 많은 승려를 배출한 최대의 산문이었으며, 낭혜는 당시 최고의 선종 승려였다. 성주사는 조선 시대에 임진왜란을 겪으며 쇠퇴하다가 17세기말 폐사되었고, 지금은 그 터와 많은 유물이 남아 있어 옛 성주사의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3]

역사

성주사(聖住寺)는 백제 때 오합사(烏合寺)로 불리다가 승려 낭혜이 오합사로 오면서 절이 크게 중창되었고 그에 따라 통일신라 문선왕 때에 성주사로 개칭된 것이다. 『숭암산 성주사 사적』(崇巖山 聖住寺 事蹟)에 따르면 오합사는 성주사의 전신인데 백제 법왕이 599년에 전쟁에서 죽은 병사들의 원혼을 위무하려는 뜻에서 세운 절이라고 한다. 따라서 오합사는 백제왕실에서 매우 중히 여긴 절이었던 듯하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 오합사는 백제 멸망과 관련된 불우한 이야기를 간직한 절이다. 『삼국사기』에는 의자왕 15년 5월에 “흰말이 북악에 있는 오합사에 들어가서 불우(佛宇)를 돌며 울다가 며칠 만에 죽었다”는 기록이 있고 『삼국유사』에도 의자왕 19년에 “오합사에 큰 붉은말이 있어 밤낮 여섯 시에 사원을 돌았다”고 쓰어 있다. 이미 1960년대에도 간간이 나오는 백제 기와조각들 때문에 오합사로 추정되어 왔으며 본격적인 발굴에서는 백제 시대 기와조각들이 더욱 많이 출토되었다.[4]

신라 말의 학자인 최치원(崔致遠)낭혜를 기념하며 쓴 비가 바로 낭혜화상부도비(郞慧和尙浮屠碑)이다. 신라시대 부도비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이 부도비에는 최치원이 지은 5,000여 자의 글씨가 몸체에 새겨져 있다.[5]

명칭유래

무염국사(無染國師)가 이 절에 있었기에 그를 성인(聖人)으로 보고, 성인이 주석한 절이니 ‘성주사(聖住寺)’라 이름을 붙였으며 산도 마을도 그에 따라 이름이 바꼈다.[6]

동영상

  • 박오덕, "[우리동네 TV 보령 성주사지]", YouTube, 게시일: 2016년 10월 5일. 2017년 4월 12일 확인.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599년 백제 법왕에 의해 오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845년 낭혜가 오합사의 주지가 되어 크게 중창하였다.
신라 문성왕 때 오합사에서 성주사로 개명되었다.
888년 낭혜가 성주사에서 입적하였다.
임진왜란기 보령 성주사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다.
1984년 사적 제 307호로 지정되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석등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낭혜 A는 B를 위한 비이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인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낭혜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보령 성주사지 구산선문 A는 B에 포함된다
성주산문 구산선문 A는 B에 포함된다
성주산문 선종 A는 B에 포함된다

주석

  1. "도갑사", 정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4월 10일.
  2.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성주사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3. "성주사지", 『위키백과』online, 최종수정일:2016년 7월 26일.
  4.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성주사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5. 최정규,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성주사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6.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6 - 지리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성주사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