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후성 전답매매명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21번째 줄: 21번째 줄:
 
}}
 
}}
 
</noinclude>
 
</noinclude>
 
+
==정의==
 
 
==개요==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이 [[구 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이 [[구 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텍스트==
+
==내용==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이 [[구 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이 [[구 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양후성은 자신이 소유한 전답을 팔고 다른 곳의 전답을 구입하기 위하여 전답을 매매하였다. 매매한 전답의 면적은 파종량을 기준으로 피모皮牟 12마지기이고, 수확량을 기준으로 10복卜이며, 가격은 전문錢文 3냥으로 거래되었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김귀남]]이 증인으로 참석하였고, 돌이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9쪽.</REF>
 
양후성은 자신이 소유한 전답을 팔고 다른 곳의 전답을 구입하기 위하여 전답을 매매하였다. 매매한 전답의 면적은 파종량을 기준으로 피모皮牟 12마지기이고, 수확량을 기준으로 10복卜이며, 가격은 전문錢文 3냥으로 거래되었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김귀남]]이 증인으로 참석하였고, 돌이 문서를 작성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9쪽.</REF>
 +
 +
==부연설명==
  
  
49번째 줄: 49번째 줄: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시간정보==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767년 || {{PAGENAME}}이 작성되었다.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googlemap>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공간정보==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39197||127.054387||{{PAGENAME}}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PAGENAME}}||간행년||1767년(영조43)
 
 
|}
 
|}
  

2017년 4월 8일 (토) 02:19 판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한글팀 양후성 전답매매명문.jpg
영문명칭 A record of land trade issued when Yang Huseong was trading land with Gu Aengae
작자 양후성
작성시기 1767년(영조43)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장서각(경주손씨 송첨종택 기탁)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36.4×43㎝
판본 필사
수량 1章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구 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내용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구 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양후성은 자신이 소유한 전답을 팔고 다른 곳의 전답을 구입하기 위하여 전답을 매매하였다. 매매한 전답의 면적은 파종량을 기준으로 피모皮牟 12마지기이고, 수확량을 기준으로 10복卜이며, 가격은 전문錢文 3냥으로 거래되었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김귀남이 증인으로 참석하였고, 돌이 문서를 작성하였다.[1]

부연설명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인물 양후성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인물 구 애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인물 김귀남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인물 백돌이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67년 양후성 전답매매명문이 작성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양후성 전답매매명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