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비로자나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
{{개념정보상세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비로자나불
 +
|영문명칭=
 +
|한자=毘盧遮那佛
 +
|산스크리트어=Vairocana
 +
|팔리어=
 +
|한역어=
 +
|음사=
 +
|동의어=
 +
|상위어=
 +
|하위어=
 +
|유사어=
 +
|반의어=
 +
|관련어=
 +
|필드수=3
 +
}}
 
=='''정의'''==
 
=='''정의'''==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7번째 줄: 24번째 줄:
 
비로자나불은 태양의 빛처럼 불교의 진리가 우주 가득히 비추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 부처는 다른 부처와는 달리 설법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불교의 진리, 곧 불법(佛法)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므로 불상으로서 형상화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에 속한다.<ref>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ref>
 
비로자나불은 태양의 빛처럼 불교의 진리가 우주 가득히 비추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 부처는 다른 부처와는 달리 설법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불교의 진리, 곧 불법(佛法)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므로 불상으로서 형상화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에 속한다.<ref>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ref>
  
형상은 보통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4691&cid=50763&categoryId=50784 지권인(智拳印)]의 수인을 취하며 협시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노사나불과 석가불이 좌우에서 모시고 있는 삼신불(三身佛)의 예도 있다.<ref>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2쪽.</ref>
+
형상은 보통 [[지권인|지권인(智拳印)]]의 [[수인]]을 취하며 협시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석가불]]이 좌우에서 모시고 있는 [[삼신불|삼신불(三身佛)]]의 예도 있다.<ref>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2쪽.</ref>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특히 9세기 중엽경 유행했으며, 현존 최고(最古)의 비로자나불상은 ‘영태2년명永泰二年銘’(766)이라는 명문을 가진 경남 산청군 내원사 소장의 석조 비로자나불상이다. 그 밖에 대표적인 예로는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림사寶林寺 철조비로자나불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도피안사到彼岸寺 철조비로자나불상]] 등이 있다.<ref>월간미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4401&cid=42642&categoryId=42642 비로자나불]",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특히 9세기 중엽경 유행했으며, 현존 최고(最古)의 비로자나불상은 ‘영태2년명永泰二年銘’(766)이라는 명문을 가진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호)이다. 그 밖에 대표적인 예로는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다.<ref>월간미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4401&cid=42642&categoryId=42642 비로자나불]",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우리나라 사원에서 이 비로자나불을 봉안하고 있는 전각을 대적광전(大寂光殿) 또는 대광명전(大光明殿)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각의 명칭이 붙여질 경우에도 보통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하게 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
우리나라 사원에서 이 비로자나불을 봉안하고 있는 전각을 [[대적광전|대적광전(大寂光殿)]] 또는 대광명전(大光明殿)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각의 명칭이 붙여질 경우에도 보통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하게 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비로자나불상''">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비로자나불상''">
 +
파일:Seongnamamsaji Vairocana.jpg|[[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330100,38&flag=Y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2017년 04월 03일 확인.</ref>
 +
파일:Seongnamamsaji Vairocana.jpg|[[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630000,32&flag=Y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2017년 04월 03일 확인.</ref>
 
파일:BorimsaVairocana.jpg|[[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파일:BorimsaVairocana.jpg|[[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파일:Gagyeonsa Vairocana.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파일:Gagyeonsa Vairocana.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2017년 4월 3일 (월) 22:23 판


틀:개념정보상세

정의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1]

내용

비로자나불은 태양의 빛처럼 불교의 진리가 우주 가득히 비추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 부처는 다른 부처와는 달리 설법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불교의 진리, 곧 불법(佛法)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므로 불상으로서 형상화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에 속한다.[2]

형상은 보통 지권인(智拳印)수인을 취하며 협시로 문수보살보현보살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노사나불석가불이 좌우에서 모시고 있는 삼신불(三身佛)의 예도 있다.[3]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특히 9세기 중엽경 유행했으며, 현존 최고(最古)의 비로자나불상은 ‘영태2년명永泰二年銘’(766)이라는 명문을 가진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호)이다. 그 밖에 대표적인 예로는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다.[4]

우리나라 사원에서 이 비로자나불을 봉안하고 있는 전각을 대적광전(大寂光殿) 또는 대광명전(大光明殿)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각의 명칭이 붙여질 경우에도 보통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하게 된다.[5]

갤러리

주석

  1.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
  2.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
  3. 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2쪽.
  4. 월간미술, "비로자나불",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
  5.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
  6.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2017년 04월 03일 확인.
  7.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2017년 04월 03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