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화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가소개)
12번째 줄: 12번째 줄:
  
 
=='''작가소개'''==
 
=='''작가소개'''==
1912년 2월 2일~1994년 8월 5일. 현대 화가. 본명은 김원진(金源珍)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출신지는 평안남도 평양시(平壤市: 현 평양특급시)이다.<br/>
+
'인상주의 풍경화가'라 불리는 김원의 본명은 김원진(金源珍)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출신지는 평안남도 평양시(平壤市: 현 평양특급시)이다. 일설에 따르면 그는 월남하였을 때 38선에 '진'자를 놓고 왔으며 이 다음에 남북이 통일되면 다시 원진으로 돌아간다고 말하였다고 한다.<br/>
1933년 일본 도쿄[東京] 데이고쿠[帝國]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여 1938년에 졸업하였다.<br/>
+
그는 「바다」‧「변모하는 한강」‧「한산도 전경」‧「설악산」‧「금강산 전경」등 풍경화를 자주 그렸다. 실제 풍경화를 그릴 때에는 현장에 이젤을 세우고 자신의 눈으로 보는 풍경을 그대로 그렸다고 한다. 미술평론가 이경성은 그런 그의 태도가 '직접 자연 속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느끼면서 붓을 움직이고 색을 배합하는 것'이 과거의 인상파 화가들을 연상시킨다고 말한다.<br/>  
1946년 서울로 월남하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교단에 섰고, 1954년부터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으로 자리를 옮겨 교수와 학장을 거쳐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또한 1954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추수」‧「가을」을 비롯하여, 1957년 「동해의 전망」 등을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그 후 국전의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 등을 지내고 추천작가와 초대작가로서 참여하였다.<br/>
+
비록 풍경화가로 알려졌지만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소녀」는 그가 인물화에도 조예가 깊었음을 보여준다. 사실적이면서도 풍부한 선의 묘사, 붉은 색채에 굵은 주름으로 단조로움을 상쇄한 것이 눈에 띈다.<br/>  
1967년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을 지냈고, 1969년에는 목우회 부회장을 지냈다. 1970년 한국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초대운영위원장을 지냈다.<br/>
 
1981년부터는 대한민국예술원 정회원을 등록되었으며, 1984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운영위원으로 활동하였다. <br/>
 
대표작으로는 「소녀」‧「바다」‧「변모하는 한강」‧「한산도 전경」‧「설악산」‧「금강산 전경」 등이 있다.<br/>
 
1931년부터 1944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8회나 입선할 만큼 실력이 입증된 서양화가였다. 특히, 풍경화 부분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었지만 그의 대표작 「소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물화에도 조예가 깊었다.<br/>
 
그의 그림의 예술적 완성도에 힘입어 그는 선전에서만 8회 입상하였으며, 1954년부터 국전에 3회 입선하였다. 또한 문화 예술계에 끼친 공로가 인정되어 국민훈장 동백장과 은관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학력'''==
 
=='''학력'''==
57번째 줄: 52번째 줄:
 
=='''주요작품'''==
 
=='''주요작품'''==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파일:이종상-광개토대왕.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69&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1410966_QFK0GK7UC.jpg%2F%2528%25EA%25B4%2591%25EA%25B0%259C.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17&categoryId=46765 광개토대왕 영토확장도, 1982년]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원 대표작품 02.jpg|[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ssn2710&logNo=220531212498&parentCategoryNo=&categoryNo=1788&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소녀]  
파일:이종상-흙에서.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77&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1542886_K8EUGZMG4.jpg%2F%2528%25EC%259B%2590%25ED%2598%2595.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02&categoryId=46753 원형상-흙에서, 1990년]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김원 대표작품 01.jpg|[http://blog.daum.net/yoont3/11301406 설악산]  
파일:이종상-독도.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98&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2327728_YBSR0PZL6.jpg%2F110601-15%25EC%259D%25BC.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17&categoryId=46765 독도귀어도, 1983년]
 
 
</gallery>
 
</gallery>
  
75번째 줄: 69번째 줄:
 
|-
 
|-
 
|{{PAGENAME}} ||[[김원-해안사방]]|| A는 B를 그렸다
 
|{{PAGENAME}} ||[[김원-해안사방]]|| A는 B를 그렸다
 +
|-
 +
|{{PAGENAME}} ||[[월남 화가]]|| A는 B에 포함된다
 
|}
 
|}
  

2017년 3월 27일 (월) 13:15 판

틀:작가정보 김지선

작가소개

'인상주의 풍경화가'라 불리는 김원의 본명은 김원진(金源珍)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출신지는 평안남도 평양시(平壤市: 현 평양특급시)이다. 일설에 따르면 그는 월남하였을 때 38선에 '진'자를 놓고 왔으며 이 다음에 남북이 통일되면 다시 원진으로 돌아간다고 말하였다고 한다.
그는 「바다」‧「변모하는 한강」‧「한산도 전경」‧「설악산」‧「금강산 전경」등 풍경화를 자주 그렸다. 실제 풍경화를 그릴 때에는 현장에 이젤을 세우고 자신의 눈으로 보는 풍경을 그대로 그렸다고 한다. 미술평론가 이경성은 그런 그의 태도가 '직접 자연 속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느끼면서 붓을 움직이고 색을 배합하는 것'이 과거의 인상파 화가들을 연상시킨다고 말한다.
비록 풍경화가로 알려졌지만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소녀」는 그가 인물화에도 조예가 깊었음을 보여준다. 사실적이면서도 풍부한 선의 묘사, 붉은 색채에 굵은 주름으로 단조로움을 상쇄한 것이 눈에 띈다.

학력

  • 1937 일본 데코쿠 미술학교 서양화과

경력

  • 1947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195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1959 미술교육협회 부회장
  • 1963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초대작가
  • 1967-1968 세계일주 사진 여행
  • 1967 미국 메릴랜드대 초청 미술실기 연구
  • 1969 미협 부이사장
  • 1973-1982 미협 고문
  • 1974 홍익대학교 미술학부장
  • 1974 목우회 부회장
  • 1975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장
  • 1977 홍익대학교 명예교수
  • 1978 한중예술련 부회장
  • 1978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심사위원
  • 1979-1982 목우회 회장
  • 1981-1983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1983 미협 회장

전시

  • 재동경미술협회전, 총독부 미술관
  • 1995 목우회전,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 1983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86 3.1문화상 예술상
  • 1992 제37회 대한민국 예술원상
  • 서울특별시 문화상
  • 국민훈장 동백장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김원(화가) 김원-마산공업단지 A는 B를 그렸다
김원(화가) 김원-해안사방 A는 B를 그렸다
김원(화가) 월남 화가 A는 B에 포함된다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김원(화가) 김원-마산공업단지 제작연도 1973년
김원(화가) 김원-해안사방 제작연도 1975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참고문헌

  • 사이트
    • "김원",『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3월 25일 확인)
    • "김원",『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3월 25일 확인)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