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황룡사의 조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35번째 줄: 35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95번째 줄: 95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br/>
 
</html><br/>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2024년 3월 14일 (목) 14:22 기준 최신판


황룡사의 조영
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 제일의 사찰이었던 황룡사의 조영 광경을 그린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황룡사 건축은 553년부터 569년까지 총 17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본래는 신라 24대 진흥왕(眞興王, 534~576) 때에 본궁 남쪽에 짓던 새 궁궐이었으나, 궁을 짓는 도중에 황룡이 출현하자 이를 기려 불사(佛寺)로 고쳤고 황룡사(皇龍寺)라 명명하였다. 절의 구조는 전형적인 삼국시대 가람 건축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남쪽에서부터 중문·탑·금당·강당의 순으로 당우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 회랑을 둘러 명실상부한 국찰(國刹)의 면모를 갖추었다.[1] 중앙에 위치한 구층 목탑에는 한 설화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Quote-left.png 당나라로 유학갔던 자장이 태화지(太和池) 옆을 지날 때 신인(神人)이 나와서, “황룡사 호국룡(護國龍)은 나의 장자(長子)로 범왕(梵王)의 명을 받아 그 절을 보호하고 있으니, 본국에 돌아가서 그 절에 9층탑을 이룩하면 이웃나라가 항복하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하며 왕업이 길이 태평할 것이요, 탑을 세운 뒤에 팔관회(八關會)를 베풀고 죄인을 구하면 외적이 해치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정병조, "황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품의 오른편에서 지어지고 있는 구조물이 바로 ②③⑤⑥ 황룡사 구층목탑이다. 왼편에서는 인부들이 ④ 소달구지에 건축 자재를 실어 나르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아래편에서는 대들보 등으로 쓰일 나무에 홈을 파고 있는 ⑦⑨ 인부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작품 배경

건축 당시에는 월성(月城)의 동쪽 용궁의 남쪽에 있었던 황룡사는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사적 제 6호로 지정된 황룡사지만이 남아 있다.

그림 읽기

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황룡사의 조영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황룡사의 조영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태-황룡사의 조영 황룡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황룡사의 조영 황룡사 구층목탑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황룡사 구층목탑 황룡사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황룡사 장육존상 황룡사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황룡사 장육존상 아소카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진흥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황룡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7년 김태김태-황룡사의 조영을 그렸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김태-황룡사의 조영을 소장하고 있다.
569년 황룡사신라 진흥왕 주도로 건설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김태-황룡사의 조영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정병조, "황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 참조: "황룡사",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황룡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병조, "황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