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대례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례 → 기관)
(기본 정보)
28번째 줄: 28번째 줄:
 
* 목록(目錄): 시목(時日),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진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보식(寶式), 금책문(金冊文), 봉리식(封裏式), 도설(圖說), 반차도(班次圖), 감결(甘結), 재용(財用),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의 순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 내용 중 일부는 목차에서 생략
 
* 목록(目錄): 시목(時日),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진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보식(寶式), 금책문(金冊文), 봉리식(封裏式), 도설(圖說), 반차도(班次圖), 감결(甘結), 재용(財用),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의 순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 내용 중 일부는 목차에서 생략
 
**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장례원본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장례원본 해제]
* 판본
+
* '''판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3484), (奎 13487), (奎 13488), (奎 13489-1), (奎 13489-2)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3484), (奎 13487), (奎 13488), (奎 13489-1), (奎 13489-2)
 
** [[장서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2-2626), (2-2627)  
 
** [[장서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2-2626), (2-2627)  

2017년 3월 19일 (일) 19:31 판

틀:복식문헌정보

정의

1897년(광무 1년) 10월에 고종이 대한제국(大韓帝國)의 황제로 즉위한 과정을 기록한 책.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보책조성소는 1897년 9월에 태복사에 설치.
    • 9월 9일부터 시역, 고종의 황제 등극에 따른 각종 보새책봉문을 준비·제작.
    • 9월 14일 고종은 천·지·묘·사에 고유제를 올림.
    • 9월 16일 고종은 국호를 대한(大韓)이라 정함.
    • 9월 17일 환구단(圜丘壇)에서 환구고제(圜丘告祭)를 거행한 뒤 황제에 등극.
    • 9월 18일에는 조칙(詔勅)을 반포하여 광무(光武) 원년(元年)을 선포하고 왕후 민씨(閔氏)를 황후로, 태자를 황태자로 책봉.
    • 19일에는 왕실의 어른인 명헌태후(明憲太后)에게 옥보를 친전하고, 황태자비를 책봉.
  • 목록(目錄): 시목(時日),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진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보식(寶式), 금책문(金冊文), 봉리식(封裏式), 도설(圖說), 반차도(班次圖), 감결(甘結), 재용(財用),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의 순으로 되어 있으나, 본문 내용 중 일부는 목차에서 생략
  • 판본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항목B 관계
고종대례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고종대례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고종대례의궤 장서각한국학중앙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문헌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고종대례의궤 대례복식 A는 B를 보여준다

문헌 → 의례

항목A 항목B 관계
고종대례의궤 대례 A는 B를 기록한다

의례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대례 책보조성소 A는 B에서 주관한다

인물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고종 면복 A는 B를 착용한다
명성황후 적의 A는 B를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