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본관은 이천(利川)이다. 993년(성종 12) 거란족이 침입하였을 때 적장 소손녕과 담판을 지어 물리친 일로 유명한 문신이자 외교가인 [[서희]](徐熙)의 아들이다. 1036년(정종 2) 정3품 중추원 우승선(右承宣)을 지냈고, 그 후 정2품 상서도성 좌복야로 승차하였다. 선종 때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서정]](徐靖)의 아버지이다.
 
본관은 이천(利川)이다. 993년(성종 12) 거란족이 침입하였을 때 적장 소손녕과 담판을 지어 물리친 일로 유명한 문신이자 외교가인 [[서희]](徐熙)의 아들이다. 1036년(정종 2) 정3품 중추원 우승선(右承宣)을 지냈고, 그 후 정2품 상서도성 좌복야로 승차하였다. 선종 때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서정]](徐靖)의 아버지이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
 +
 +
== 가족 ==
 +
* 형: [[서눌]](徐訥) 종1품 문하시중門下侍中)
 +
** 조카: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 조카: [[서수]](徐琇 종1품 문하시중 봉 희양대군)
 +
* 본인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 아들: [[서정]](徐靖) (정2품 평장사.종1품 판삼사사)
 +
** 아들: [[서존]](徐存) (정3품  병부상서  태원군)
 +
* 동생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 조카: [[서린]](徐嶙) (종2품 판대부사)
 +
* 동생 :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 조카: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2022년 2월 4일 (금) 13:20 판

고려 전기의 문신. 정2품 상서도성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출생-사망 ? ~ ?

본관은 이천(利川)이다. 993년(성종 12) 거란족이 침입하였을 때 적장 소손녕과 담판을 지어 물리친 일로 유명한 문신이자 외교가인 서희(徐熙)의 아들이다. 1036년(정종 2) 정3품 중추원 우승선(右承宣)을 지냈고, 그 후 정2품 상서도성 좌복야로 승차하였다. 선종 때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서정(徐靖)의 아버지이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가족

  • 형: 서눌(徐訥) 종1품 문하시중門下侍中)
    • 조카: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조카: 서수(徐琇 종1품 문하시중 봉 희양대군)
  • 본인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아들: 서정(徐靖) (정2품 평장사.종1품 판삼사사)
    • 아들: 서존(徐存) (정3품 병부상서 태원군)
  • 동생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조카: 서린(徐嶙) (종2품 판대부사)
  • 동생 :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조카: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