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6번째 줄: 26번째 줄:
 
이 석불좌상은 전체 높이 약 153㎝, 불두 높이 약 53.5㎝, 어깨 폭 약 64㎝, 무릎 폭 약 97.5㎝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석불좌상은 전체 높이 약 153㎝, 불두 높이 약 53.5㎝, 어깨 폭 약 64㎝, 무릎 폭 약 97.5㎝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머리에는 굵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얼굴은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한 윤곽에 눈코입이 작게 표현 되었으며, 특히 입이 작고 양 끝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어서 뺨이 더 통통하게 보인다. 양 귓불은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닿아 있고<ref>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9403 삼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가 표현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머리에는 굵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얼굴은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한 윤곽에 눈코입이 작게 표현 되었으며, 특히 입이 작고 양 끝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어서 뺨이 더 통통하게 보인다. 양 귓불은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닿아 있고<ref>주진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066 군위인각사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ref>심준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9403 삼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가 표현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1641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평행된 옷주름이 촘촘하게 물 흐르듯 새겨져 있으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에는 속옷과 띠매듭이 드러나고 있다. 무릎사이에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진 옷주름은 양 팔뚝을 감싸고 흘러내린 대의(大衣)<ref>'삼의(三衣)'의 하나. 삼의 중 가장 큰 것을 말하며, 설법 등의 행사 때 입음</ref>의 주름과 겹쳐져 무릎 부근에서 크게 3단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손 모양은 오른손으로 [[촉지인|촉지인(觸地印)]]을 취하고 있고, 왼손으로 [[선정인|선정인(禪定印)]]을 취하였으며, 손 위에는 조그마한 구슬을 올려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390000,37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평행된 옷주름이 촘촘하게 물 흐르듯 새겨져 있으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에는 속옷과 띠매듭이 드러나고 있다. 무릎사이에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진 옷주름은 양 팔뚝을 감싸고 흘러내린 대의(大衣)<ref>'삼의(三衣)'의 하나. 삼의 중 가장 큰 것을 말하며, 설법 등의 행사 때 입음</ref>의 주름과 겹쳐져 무릎 부근에서 크게 3단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손 모양은 오른손으로 [[촉지인|촉지인(觸地印)]]을 취하고 있고, 왼손으로 [[선정인|선정인(禪定印)]]을 취하였으며, 손 위에는 조그마한 구슬을 올려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390000,37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64번째 줄: 64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교열완료]]
+
[[분류:승탑/교열]]

2017년 12월 14일 (목) 16:50 판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BHST Ingaksa Buddha.jpg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한자표기 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영문명칭 Stone Seated Buddha of Ingaksa Temple, Gunwi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지정일 2002년 8월 19일
소장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수량 1기
관련장소 군위 인각사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인각사(麟角寺)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1]

내용

이 석불좌상은 전체 높이 약 153㎝, 불두 높이 약 53.5㎝, 어깨 폭 약 64㎝, 무릎 폭 약 97.5㎝이다.[2]

신체표현이나 의습선의 표현, 상호 표현 등 모든 면에서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머리에는 굵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 있다.[3] 얼굴은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한 윤곽에 눈코입이 작게 표현 되었으며, 특히 입이 작고 양 끝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어서 뺨이 더 통통하게 보인다. 양 귓불은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닿아 있고[4]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5]가 표현되었다.[6]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평행된 옷주름이 촘촘하게 물 흐르듯 새겨져 있으며, U자형으로 넓게 트인 가슴에는 속옷과 띠매듭이 드러나고 있다. 무릎사이에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진 옷주름은 양 팔뚝을 감싸고 흘러내린 대의(大衣)[7]의 주름과 겹쳐져 무릎 부근에서 크게 3단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손 모양은 오른손으로 촉지인(觸地印)을 취하고 있고, 왼손으로 선정인(禪定印)을 취하였으며, 손 위에는 조그마한 구슬을 올려 놓았다.[8]

불상 신체의 양감이 표현되지 않은 점, 경직된 어깨, 높고 짧은 양 무릎, 옷 전체에 등 간격으로 음각된 의습선 등으로 보아 양 무릎에 의습선을 표현하지 않거나 신체의 양감이 풍부하게 표현된 9세기의 불상과는 다르며, 또한 상호와 신체 등이 큼직하게 표현되기 시작한 고려의 불상과도 달라[9] 제작시기가 10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일 것으로 짐작되어 불상 양식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다.[10]

지식 관계망

  • 보각국사 일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3.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4.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심준보, "삼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7. '삼의(三衣)'의 하나. 삼의 중 가장 큰 것을 말하며, 설법 등의 행사 때 입음
  8. "군위인각사석불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9. 주진령, "군위인각사석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軍威 麟角寺 石佛坐像)",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