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지식 관계망)
69번째 줄: 69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3/C053.htm "민족대표의 독립선언(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2017년 11월 30일 (목) 23:53 판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삼일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을 담은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泰和館)에서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모여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다. 이 작품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재현되어 있는데, 작품 정면에 앉아있는 손병희(孫秉熙, 1861~1922)를 기준으로 시계 오른쪽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인물을 추정할 수 있다.

민족대표 33인 앞에 놓여진 종이는 최린(崔麟)의 추천으로 최남선(崔南善)이 작성한 ⑤⑥ 3·1독립선언서로 33인이 민족 대표로 서명하였다. ②③ 최남선은 독립운동의 표면에 나서는 것은 거절하며 선언서 작성만을 맡았다. 이에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은 독립운동에 책임질 수 없는 사람이 선언서를 짓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고 자신이 맡겠다고 나섰으나, 이미 선언서의 초고가 완성되어 손질이 끝난 뒤였다. 지금 전하는 독립선언서 끝에 있는 공약 3장(公約三章)은 후에 한용운이 추가한 것이라고도 한다.[1]
원고는 이종일(李鍾一)이 사장으로 있었던 보성사(普成社)에서 2만 1,000매가 인쇄되었고, 1919년 3월 28일부터 전국 각지로 전달·배포되면서 3·1운동의 전개에 있어 결정적인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2]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태화관으로, 지금의 종로구 인사동에 있던 요릿집이었는데 명월관의 분점격이었다.[3] 현재 태화관이 있던 자리에는 태화빌딩이 들어섰고,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그림 읽기

손병희한용운백용성나인협양한묵박희도이승훈오세창최린임예환권병덕이갑성3.1독립선언서3.1독립선언서3.1독립선언서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독립선언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관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민족대표 33인 독립선언식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erformed B
독립선언식 3.1운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독립선언식 태화관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태화관 태화빌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한용운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민족대표 33인 최남선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3.1독립선언서 최남선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3.1독립선언서 한용운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3.1독립선언서 보성사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보성사 이종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족대표 33인 이종일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최대섭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을 그렸다
1985년 최대섭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그렸다
1919년 한용운3.1독립선언서를 썼다
1919년 최남선3.1독립선언서를 썼다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민족대표 33인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1919년 3월 28일 보성사에서 인쇄된 3.1독립선언서가 전국에 배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35383 127.2210151 독립기념관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을 소장하고 있다
37.5719465 126.9845616 태화빌딩독립선언식이 거행된 곳이다
37.5699955 126.9954145 보성사에서 3.1독립선언서가 인쇄되었다
37.5405423 127.0725187 건국대학교 박물관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상협,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1월 13일.
  4.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9.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10.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11.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3.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 89-94쪽.
  2. 웹 자원
    • 이상협,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1월 13일.
    •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