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귀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파일:도선수미비04.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귀부]]
 
파일:도선수미비04.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귀부]]
 
파일:Tongil stele gwib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귀부]]
 
파일:Tongil stele gwib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귀부]]
 +
파일:Daeji stele gwibu.jpg|[[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귀부]]
 
</gallery>
 
</gallery>
  
21번째 줄: 22번째 줄: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귀부]]
 
[[분류:귀부]]

2017년 3월 9일 (목) 12:20 판


정의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개요

귀부(龜趺) 위에 비신을 세우고 비신 위에 두 마리 용으로 장식된 이수(螭首)를 씌우는 것이 보통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용의 모습 외에 해태 모습을 한 것도 있고, 사실적인 거북 모양에서 점차 변형되어 장중한 것, 패기에 넘치는 것, 우아한 것 등 형태를 달리한 것이 많다.[1] 현존하는 귀부(龜趺) 중 가장 오래된 것은 661년에 세워진 신라태종무열왕릉비(국보 제25호)의 귀부로서, 목을 앞으로 쭉 뻗고 눈을 크게 뜬 채 입을 다문 거북의 모습이 사실적이면서도 박진감 넘치는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다.[2]


갤러리


주석

  1. "귀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 "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