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정의)
10번째 줄: 1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대중국관계에 있어서 비정기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이다.
+
조선시대 대 중국관계에 있어서 비정기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을 가리킨다.
 +
 
 
=='''내용'''==
 
=='''내용'''==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임시로 파견하였던 비정기적인 사절이다. 그 성격이나 기능은 [[진주사|진주사(陳奏使)]]와 같다. [[주청사|주청사(奏請使)]]가 내용을 알리고 그에 대한 답변을 청하는 성격이 강한 반면, [[주문사]]는 단순히 알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파견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이 명칭이 많이 보이나, 후기에는 [[진주사]]와 [[주청사]]가 주로 파견되었다.<ref>손승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3245 주문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임시로 파견하였던 비정기적인 사절이다. 그 성격이나 기능은 [[진주사|진주사(陳奏使)]]와 같다. [[주청사|주청사(奏請使)]]가 내용을 알리고 그에 대한 답변을 청하는 성격이 강한 반면, [[주문사]]는 단순히 알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파견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이 명칭이 많이 보이나, 후기에는 [[진주사]]와 [[주청사]]가 주로 파견되었다.<ref>손승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3245 주문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2018년 1월 2일 (화) 20:10 판

주문사
(奏聞使)
Joseon mungwan mid.png
대표명칭 주문사
한자표기 奏聞使
유형 제도
관련개념 진주사


정의

조선시대 대 중국관계에 있어서 비정기적인 사절 또는 그 사신을 가리킨다.

내용

중국과의 사이에 외교적으로 알려야 할 일이 있을 때, 임시로 파견하였던 비정기적인 사절이다. 그 성격이나 기능은 진주사(陳奏使)와 같다. 주청사(奏請使)가 내용을 알리고 그에 대한 답변을 청하는 성격이 강한 반면, 주문사는 단순히 알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파견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이 명칭이 많이 보이나, 후기에는 진주사주청사가 주로 파견되었다.[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문사 진주사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s B
조선 진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주문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나라 진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나라 주문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청나라 주청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청나라 진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손승철, "주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영춘,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파견된 책봉주청사(冊封奏請使)의 기록(記錄)과 외교 활동」, 『朝鮮時代史學報』 59, 조선시대사학회, 2011, 105-142쪽.
  • 웹자원
    • 손승철, "주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