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 초상(전신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50/E05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2017년 11월 25일 (토) 23:05 판
윤증 초상 | |
한자명칭 | 尹拯 肖像 |
---|---|
작가 | 장경주 |
제작시기 | 1744년 |
소장처 | 충남역사문화연구원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1495호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10.0×81.0㎝ |
목차
정의
조선 후기 학자 윤증(尹拯, 1629∼1714)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논산의 유봉영당(酉峯影堂)에는 다수의 윤증 초상이 전해온다. 이 중에서 1744년에 장경주가 그린 측면전신좌상 1점과 장경주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반신상 2점, 1788년 이명기가 그린 측면전신좌상 2점과 윤증 초상의 제작에 대한 기록을 담은 책자인『영당기적(影堂紀蹟)』이 일괄로 보물 제1495호로 지정되어 있다. 『영당기적(影堂紀蹟)』은 윤증 초상의 제작과 관련된 기록을 담은 필사본으로, 1711년(숙종 37) 변량(卞良)이 윤증의 초상을 처음으로 그렸던 사례부터 1744년(영조 20) 장경주, 1788년(정조 12) 이명기, 1885년(고종 22) 이한철(李漢喆)이 모사할 때까지 4차례의 제작 사례를 기록하였다. 여기에는 제작 일정 및 제작된 초상의 수, 구본 및 신본의 봉안과정 등을 상세히 담고 있다. 이 외에도 1919년 및 1935년에 제작된 윤증의 전신 좌상 및 소묘 초본 여러 점이 함께 전해오고 있다.
윤증의 초상화가 처음 그려졌던 것은 살아있을 때인 1711년으로 당시 국수라 칭해졌던 변상벽이 그렸다. 윤증은 원래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을 반대했지만, 그의 문인들이 향음례 동안 화사로 하여금 군중 사이에 섞여 윤증의 안색을 바라보고, 또 창문 틈으로 엿보게 하여 초를 잡도록 하였고, 1712년 4월에 작업이 시작되어 한 달 보름 후 마침내 정면상과 측면상 두 본이 완성되었다. 제작 당시부터 상당히 핍진한 작품으로 평가되었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이 후 30여년 후 초상의 색이 바래고 낡아서 1744년 4월 당시 어진화사였던 장경주를 불러 정면상 1점과 측면상 3점을 이모하게 했다.[1]
이 윤증 초상은 측면잔신좌상으로 17744년 당시 장경주가 이모했던 측면상 중 하나이다. 하면의 좌측 하단에 “숭정기원 후 두 번째 갑자년(1744)에 모사함(崇禎紀元後再甲子四月)”이라는 묵서가 있어 제작시기를 알 수 있으며 『영당기적(影堂紀蹟)』에 기록된 1744년 당시의 제작상황을 통해 장경주가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장경주가 그린 이 초상은 이후 1788년에 이명기가 다시 이모하게 된다. 이명기는 이 때 같은 초본을 바탕으로 구법과 신법의 두 가지 묘사법을 사용해 각각 1점씩 을 그렸다.[2]
<윤증 초상> 전신상 세 점은 윤증이라는 한 인물을 대상으로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제작된 작품들이라는 점에서 특이한 사례에 속하며 『영당기적』을 통해 초상화 제작의 전말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초상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자 모두 당대의 뛰어난 초상화가가 이모하여 조선후기를 대표할 만한 뛰어난 회화적 격조를 지니고 있는 걸작이기도 하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장경주가 그린 <윤증 초상>은 사방관을 쓰고 도포를 입은 채 오른편으로 돌아앉은 전신측면좌상이다. 의습선은 복잡하나 음영을 짙게 사용하지 않았고 얼굴도 마찬가지이다. 이명기가 그린 구법 <윤증 초상>은 장경주의 작품을 충실히 모사하고 있어 이명기 특유의 입체감이 드러나니 않으나 얼굴의 음영이 더 짙은 편이고 손의 표현에서 입체감이 좀 두드러진다. 신법 <윤증 초상>은 음영표현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서 두 손과 얼굴의 입체감이 선명하며 옷 주름이 깊이 있는 음영으로 묘사되어 굉장히 입체적인 모습이다.
윤증의 얼굴은 사방관 사이로 비치는 민머리가 특징적이며 치켜 올라간 양쪽 눈, 긴 코, 붉은 입술과 깊게 패인 팔자주름과 흰 수염에서 꼬장꼬장한 풍모가 느껴진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윤증 초상(전신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윤증 초상(전신상) | 윤증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윤증 초상(전신상) | 장경주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윤증 초상(전신상) | 논산 유봉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영당기적 | 윤증 초상(전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윤증 초상(전신상) | 사방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윤증 초상(전신상) | 도포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44년 | 윤증 초상(전신상)이 제작되었다. |
2006년 12월 29일 | 윤증 초상(전신상)이 보물 제1499-1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489134 | 127.146726 | 윤증 초상(전신상)은 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조선미,『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11~216쪽.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288쪽.
- ↑ "윤증 초상 일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 ↑ "윤증 초상 일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 ↑ "윤증 초상 일괄",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황정연, "윤증초상일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대전역사박물관, 『호서명현 초상화 특별전, 유학자 관복을 벗다』, 대전역사박물관, 2014,
- 논문
- 심초롱, 『윤증 초상 연구 (尹拯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