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폐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5번째 줄: 35번째 줄:
 
===기타===
 
===기타===
 
폐슬이 점차 발전하여 앞과 뒤에 두르는 상(裳;下裳)이라는 형태의 옷이 생겨남.
 
폐슬이 점차 발전하여 앞과 뒤에 두르는 상(裳;下裳)이라는 형태의 옷이 생겨남.
 +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문헌/회화 → 복식===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항목B!!관계
 
|-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
 +
 
 +
===복식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항목B!!관계
 +
|-
 +
| '''{{PAGENAME}}''' || 노드 || A는 B의 부분이다
 +
|-
 +
|}
 +
 
 +
===인물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항목B!!관계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복식 → 기관===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항목B!!관계
 +
|-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
 +
 
 +
===기관/소장처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항목B!!관계
 
|-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7년 3월 13일 (월) 00:23 판


폐슬(蔽膝)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폐슬(蔽膝)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여성


정의

조선시대 왕과 관리의 제복(祭服), 조복(朝服) 일습 중의 하나.[1]

기원

고대인들의 생식기 가리개가 폐슬로 정착됨.

어원[2]

'무릎을 가린다'라는 뜻으로, 허리 앞에 착용하고 무릎[膝]을 꿇으면 무릎이 가려지기[蔽] 때문에 폐슬이라고 함.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내용[3]

기본 형태

  • 위의 너비 1척, 아래의 너비 2척, 길이 3척으로,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
    • 1은 하늘, 2는 땅, 3은 삼재를 상징함.

신분별 형태

기타

폐슬이 점차 발전하여 앞과 뒤에 두르는 상(裳;下裳)이라는 형태의 옷이 생겨남.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노드 폐슬 A는 B를 보여준다
노드 폐슬 A는 B를 기록한다

복식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폐슬 노드 A는 B의 부분이다

인물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노드 폐슬 A는 B를 착용한다

복식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폐슬 노드 A는 B에서 제작한다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노드 폐슬 A는 B를 소장한다


참고문헌

주석

  1. 한국복식사전:폐슬
  2.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1.
  3. 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