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금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
|사진= 한글팀 몽금척01.JPG
|사진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진출처= 성경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784  몽금척(夢金尺)]",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몽금척
 
|대표명칭= 몽금척
 
|한자표기= 夢金尺
 
|한자표기= 夢金尺
10번째 줄: 1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ref> 성경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784  몽금척(夢金尺)]",<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ref> 성경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784  몽금척(夢金尺)]",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유래===
 
===유래===
조선 태조 때 [[정도전|정도전(鄭道傳)]]이 태조의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만든 악장(樂章)인 [[몽금척|<몽금척>]]춤으로 꾸민 것이다. 악장은 태조가 잠저에 있을 때 꿈에 신령이 금자[金尺]를 주면서 "이것을 가지고 국가를 정제하시오."라고 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악장을 만든 뒤 태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정도전에게 채색비단을 내리고 악공에게 익히게 하였다. 춤으로 꾸며진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402년(태종 2) 6월 예조와 의례상정소가 함께 조회와 연향악의 용악절도(用樂節度)를 정하였을 때 [[고려사|≪고려사≫]]전하는 <오양선 五羊仙>·<무고 舞鼓>등의 정재와 함께 <몽금척>·<수보록 受寶籙>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때 이미 춤으로 추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금척>이라는 이름으로 [[악학궤범|≪악학궤범≫]]그 무의(舞儀)가 전하는데, 죽간자 2인, 족자(簇子)·금척·황개(黃蓋) 각 1인과 춤 12인 등, 총 17인으로 구성되고, 따로 인인장(引人仗)·정절(旌節) 등의 의물을 든 20여 인이 거들어 위의를 더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오면 다시 [[몽금척|<몽금척>]]으로 환원되고, [[악학궤범|≪악학궤범≫]]에서 보이는 호화스러운 의물도 완전히 배제되고 있다. <ref> 성경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784  몽금척(夢金尺)]",<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 태조 때 [[정도전|정도전(鄭道傳)]]이 태조의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만든 악장(樂章)인 [[몽금척]]」을 춤으로 꾸민 것이다. 악장은 태조가 잠저에 있을 때 꿈에 신령이 금자(金尺)를 주면서 "이것을 가지고 국가를 정제하시오."라고 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악장을 만든 뒤 태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정도전에게 채색비단을 내리고 악공에게 익히게 하였다. 춤으로 꾸며진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402년(태종 2) 6월 예조와 의례상정소가 함께 조회와 연향악의 용악절도(用樂節度)를 정하였을 때 [[고려사]]』에 전하는 「오양선(五羊仙)」·「무고(舞鼓)」등의 정재와 함께 「몽금척」·「수보록(受寶籙)」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때 이미 춤으로 추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금척」이라는 이름으로 [[악학궤범]]』에 그 무의(舞儀)가 전하는데, 죽간자 2인, 족자(簇子)·금척·황개(黃蓋) 각 1인과 춤 12인 등, 총 17인으로 구성되고, 따로 인인장(引人仗)·정절(旌節) 등의 의물을 든 20여 인이 거들어 위의를 더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오면 다시 [[몽금척]]」으로 환원되고, [[악학궤범]]』에서 보이는 호화스러운 의물도 완전히 배제되고 있다. <ref> 성경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784  몽금척(夢金尺)]",<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32번째 줄: 32번째 줄:
 
|-
 
|-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gallery>
 +
파일:한글팀 몽금척01.JPG
 +
</gallery>
  
</gallery>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사료
 
*사료
 
**『태조실록』
 
**『태조실록』
 
**『태종실록』
 
**『태종실록』
 
**『악학궤범』
 
**『악학궤범』
 
+
-->
*저서
+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홍구, 『한국궁중무용총서 . 4 , 몽금척(夢金尺)·수보록(受寶籙)·근천정(覲天庭)·수명명(受明命)·하황은(荷皇恩)』, 보고사, 2008.
 
** 이홍구, 『한국궁중무용총서 . 4 , 몽금척(夢金尺)·수보록(受寶籙)·근천정(覲天庭)·수명명(受明命)·하황은(荷皇恩)』, 보고사, 2008.
 
** 국립국악원, 『궁중무용무보 . 제10집 , 몽금척·가인전목단』, 국립국악원, 2003.
 
** 국립국악원, 『궁중무용무보 . 제10집 , 몽금척·가인전목단』, 국립국악원, 2003.
56번째 줄: 58번째 줄:
  
 
*논문
 
*논문
** 권문숙, 「조선시대 유교 정치적 측면으로 본 몽금척·수보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
** 권문숙, 「조선시대 유교 정치적 측면으로 본 몽금척·수보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 이현숙, 「궁중정재 <몽금척>설화의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
+
** 이현숙, 「궁중정재 <몽금척>설화의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11월 4일 (토) 01:37 판

몽금척
(夢金尺)
성경린, "몽금척(夢金尺)",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몽금척
한자표기 夢金尺
이칭 금척


정의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1]

내용

유래

조선 태조 때 정도전(鄭道傳)이 태조의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만든 악장(樂章)인 「몽금척」을 춤으로 꾸민 것이다. 악장은 태조가 잠저에 있을 때 꿈에 신령이 금자(金尺)를 주면서 "이것을 가지고 국가를 정제하시오."라고 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악장을 만든 뒤 태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정도전에게 채색비단을 내리고 악공에게 익히게 하였다. 춤으로 꾸며진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402년(태종 2) 6월 예조와 의례상정소가 함께 조회와 연향악의 용악절도(用樂節度)를 정하였을 때 『고려사』에 전하는 「오양선(五羊仙)」·「무고(舞鼓)」등의 정재와 함께 「몽금척」·「수보록(受寶籙)」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때 이미 춤으로 추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뒤 「금척」이라는 이름으로 『악학궤범』에 그 무의(舞儀)가 전하는데, 죽간자 2인, 족자(簇子)·금척·황개(黃蓋) 각 1인과 춤 12인 등, 총 17인으로 구성되고, 따로 인인장(引人仗)·정절(旌節) 등의 의물을 든 20여 인이 거들어 위의를 더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 오면 다시 「몽금척」으로 환원되고, 『악학궤범』에서 보이는 호화스러운 의물도 완전히 배제되고 있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당악정재 몽금척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정도전 몽금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몽금척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금척 몽금척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악학궤범 몽금척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성경린, "몽금척(夢金尺)",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성경린, "몽금척(夢金尺)",『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홍구, 『한국궁중무용총서 . 4 , 몽금척(夢金尺)·수보록(受寶籙)·근천정(覲天庭)·수명명(受明命)·하황은(荷皇恩)』, 보고사, 2008.
    • 국립국악원, 『궁중무용무보 . 제10집 , 몽금척·가인전목단』, 국립국악원, 2003.
    • 국립국악원, 『夢金尺. 佳人剪牧丹』, 국립국악원, 2003.
    • 성현, 유자광, 신말평, 『국역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1980.
    •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 논문
    • 권문숙, 「조선시대 유교 정치적 측면으로 본 몽금척·수보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 이현숙, 「궁중정재 <몽금척>설화의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