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91번째 줄: | 91번째 줄: |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
2017년 10월 24일 (화) 02:55 판
신사임당(申師任堂) | |
대표명칭 | 신사임당 |
---|---|
한자표기 | 申師任堂 |
생몰년 | 1504년(연산군 10)-1551년(명종 6) |
본관 | 평산(平山) |
이칭 | 시임당(媤任堂)·임사재(妊思齋) |
출생지 | 강원도 강릉 북평촌 |
시대 | 조선 |
배우자 | 이원수(李元秀) |
부 | 신명화(申命和) |
모 | 용인 이씨 이사온(李思溫)의 딸 |
자녀 | 이이(李珥) |
성격 | 예술가 |
유형 | 인물 |
정의
조선 중기의 여류예술가.
내용
생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신명화(申命和)이며, 어머니는 용인 이씨로 이사온(李思溫)의 딸이다. 남편이 증좌한성 이원수(李元秀)이고, 조선시대의 대표적 학자이며 경세가인 이이(李珥)의 어머니이다. 사임당은 당호이며, 그 밖에 시임당(媤任堂)·임사재(妊思齋)라고도 하였다. 당호의 뜻은 중국 고대 주나라의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太任)을 본받는다는 것으로서, 태임을 최고의 여성상으로 꼽았음을 알 수 있다. 외가인 강릉 북평촌(北坪村)에서 태어나 자랐다.
신사임당의 예술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사임당 | 신명화 | A는 B의 딸이다 | |
이원수 | 신사임당 | A는 B의 남편이다 | |
이이 | 신사임당 | A는 B의 아들이다 | |
신사임당초서병풍 | 신사임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신사임당초충도병 | 신사임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신사임당 | 유대관령망친정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신사임당 | 태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자리도 | 신사임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산수도 | 신사임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연조도 | 신사임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
신사임당 | 강릉 오죽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강석진, 『예술을 사랑한 신사임당 21세기에 다시 만나 보는 신사임당 이야기』, 레몬북스, 2017.
-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批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30, 율곡연구원, 2015, 93-118쪽.
- 박민자, 「신사임당 탄신 50주년 기념논문 - 신사임당에 대한 여성사회학적 조명」, 『밤나골 이야기』 17, 율곡학회, 2005, 19-48쪽.
- 박지현, 「화가에서 어머니로 - 신사임당을 둘러싼 담론의 역사」, 『동양한문학연구』 25, 동양한문학회, 2007, 141-167쪽.
- 유정은, 「신사임당(申師任堂)과 옥산(玉山) 이우(李瑀)의 서화(書畵) 예술철학(藝術哲學)」, 『한문고전연구』 34, 한국한문고전학회 34, 2017, 191-230쪽.
- 유정은, 『사임당 평전 스스로 빛났던 예술가』, 리베르, 2016.
- 유정은, 『申師任堂 藝術哲學 硏究』,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유현숙, 『신사임당의 효사상 연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정문교, 「신사임당의 생애와 유훈」, 『율곡학보』 1, 율곡연구원, 1995, 69-84쪽.
- 주영애, 「申師任堂(신사임당)의 生涯(생애)에 나타난 셀프리더십과 어머니 리더십에 관한 연구- 현대 여성의 리더십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80, 동양철학연구회, 2014, 169-20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