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한자표기= 浦項 大聖寺 所藏 金銅如來坐像 |영문명칭= |이칭...) |
(→내용)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1동에 위치한 [[포항 대성사|대성사(大聖寺)]]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초기의 금동여래좌상.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1동에 위치한 [[포항 대성사|대성사(大聖寺)]]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초기의 금동여래좌상. | ||
=='''내용'''== | =='''내용'''== | ||
− | 이 불상은 | + | 이 불상은 높이 9.5㎝의 소형 금동여래좌상이다. 연화대좌 위에 편단우견(偏袒右肩)<ref>불교에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옷 모양새.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3578 편단우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의 대의를 입고 결가부좌하였으며, 왼손은 [[선정인|선정인(禪定印)]],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려 [[항마촉지인|촉지인(觸地印)]]을 결하고 있다. 대좌는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이 연접한 2중 연화좌인데 이는 고려시대 말에 유입된 라마교의 불상양식으로 이를 통해 제작연대를 추정해 볼 수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4090000,37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소규모의 불상이지만 안정적인 비례감을 지니고 있고, 손톱과 발가락, 연화좌 등 세부표현이 정교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4090000,37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소규모의 불상이지만 안정적인 비례감을 지니고 있고, 손톱과 발가락, 연화좌 등 세부표현이 정교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4090000,37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이 여래상은 이전 [[고성 건봉사|건봉사(乾鳳寺)]]에 있었던 불상임이 1912년에 촬영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유리원판에 의해 알려졌으며, 불상 내부에서는 [[유정]]의 원장(願狀)과 후령통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ref>정은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8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이 여래상은 이전 [[고성 건봉사|건봉사(乾鳳寺)]]에 있었던 불상임이 1912년에 촬영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유리원판에 의해 알려졌으며, 불상 내부에서는 [[유정|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 1544-1610)]]의 원장(願狀)과 후령통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ref>정은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8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여래상은 재료분석을 통해 구리에 아연을 합금한 황동제임이 밝혀졌으며 제작시기는 대략 15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2009년 4월 30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9호로 지정되었다.<ref>정은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8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여래상은 재료분석을 통해 구리에 아연을 합금한 황동제임이 밝혀졌으며 제작시기는 대략 15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2009년 4월 30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9호로 지정되었다.<ref>정은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3288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2017년 10월 13일 (금) 20:32 기준 최신판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浦項 大聖寺 所藏 金銅如來坐像) |
|
대표명칭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
---|---|
한자표기 | 浦項 大聖寺 所藏 金銅如來坐像 |
시대 | 조선시대 |
지정번호 |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409호 |
지정일 | 2009년 04월 30일 |
소장처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1동 534 |
수량 | 1구 |
관련인물 | 유정(惟政) |
관련장소 | 포항 대성사 |
|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1동에 위치한 대성사(大聖寺)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초기의 금동여래좌상.
내용
이 불상은 높이 9.5㎝의 소형 금동여래좌상이다. 연화대좌 위에 편단우견(偏袒右肩)[1]의 대의를 입고 결가부좌하였으며, 왼손은 선정인(禪定印),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려 촉지인(觸地印)을 결하고 있다. 대좌는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이 연접한 2중 연화좌인데 이는 고려시대 말에 유입된 라마교의 불상양식으로 이를 통해 제작연대를 추정해 볼 수 있다.[2]
소규모의 불상이지만 안정적인 비례감을 지니고 있고, 손톱과 발가락, 연화좌 등 세부표현이 정교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3]
이 여래상은 이전 건봉사(乾鳳寺)에 있었던 불상임이 1912년에 촬영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유리원판에 의해 알려졌으며, 불상 내부에서는 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 1544-1610)의 원장(願狀)과 후령통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4]
여래상은 재료분석을 통해 구리에 아연을 합금한 황동제임이 밝혀졌으며 제작시기는 대략 15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2009년 4월 30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9호로 지정되었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 포항 대성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 고성 건봉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 유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불교에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옷 모양새. "편단우견",
『두산백과』online . -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정은우,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은우,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정은우,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