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8번째 줄: 8번째 줄:
 
|지정번호=  
 
|지정번호=  
 
|지정일=
 
|지정일=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상갈로 6
+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위도= 37.268049
+
|위도= 35.722896
|경도= 127.108776
+
|경도= 127.053418
 
|찬자= [[이경석|이경석(李景奭)]]
 
|찬자= [[이경석|이경석(李景奭)]]
 
|서자= [[조진석|조진석(趙晋錫)]]
 
|서자= [[조진석|조진석(趙晋錫)]]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김제 금산사|금산사(金山寺)]]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승려 [[태능|소요대사 태능(逍遙大師 太能, 1562-1649)]]의 [[탑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김제 금산사|금산사(金山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려 [[태능|소요대사 태능(逍遙大師 太能, 1562-1649)]]의 [[탑비]].
  
 
=='''내용'''==
 
=='''내용'''==

2017년 10월 8일 (일) 22:12 판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金堤 金山寺 逍謠堂大師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한자 金堤 金山寺 逍謠堂大師碑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
찬자 이경석(李景奭)
서자 조진석(趙晋錫)
각자 조진석(趙晋錫)
서체 해서(楷書)
승려 태능(太能)
건립연대 1651년



정의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金山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승려 소요대사 태능(逍遙大師 太能, 1562-1649)탑비.

내용

개요

1651년 김제 금산사(金堤 金山寺)에 건립된 소요대사 태능(逍謠大師 太能)의 비로, 이경석(李景奭)이 비문을 찬하였고, 조진석(趙晋錫)이 글씨와 전각을 담당하였다.[1]

태능이 죽은 후, 효종은 '혜감선사(慧鑑禪師)'라는 시호(諡號)를 내리고 금산사에 비를 세우도록 하였다.[2]

비문

비문 보러가기
"금산사소요당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태능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김제 금산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이경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조진석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조진석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A ekc:inscriber B

주석

  1. "금산사소요당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2. "금산사소요당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조선총독부,『조선금석총람』하, 일한인쇄소, 1919.
  • "금산사소요당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