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형구-한산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작품명= 김형구-한산대첩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5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김형구]]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1975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유형= 군사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
|소장처= [[전쟁기념관]]
|필드수=7
+
|필드수=8
 
}}
 
}}
  
 
=='''개요'''==
 
=='''개요'''==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800px|center]]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수군을 격퇴하는 장면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수군을 격퇴하는 장면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설명'''==
<br/>
+
===작품 소재===
<br/>
+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와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대를 무찌른 해전이다.
 +
 
 +
===작품 구도===
 +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의 왜군의 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에는 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
 
 +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김태 「한산대첩」 1975|800px|center
 +
rect 161 108 462 251 [[거북선]]
 +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임진왜란 관련한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임진왜란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gallery>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37번째 줄: 45번째 줄:
  
  
=='''추출정보'''==
+
=='''관련항목'''==
===작품정보 연결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html>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한산대첩.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김형구]]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
|{{PAGENAME}}  ||[[한산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PAGENAME}}  ||[[한산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 [[이순신]]  || [[한산대첩]]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
| [[이억기]]  || [[한산대첩]]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
| [[원균]]  || [[한산대첩]]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
| [[와키자카 야스하루]]  || [[한산대첩]]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
| [[거북선]]  || [[한산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
 +
|}
  
===관련항목===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김형구]]
+
| 1975년 || [[김형구]]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 1979년 || [[국회사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1998년- || [[전쟁기념관]]가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 37.532103 || 126.914133 ||{{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
|국회사무처||소장처|| 1991년
+
| 34.794387 || 128.471667 || [[이순신]]가 [[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
 
|전쟁기념관||소장처|| 2016년
 
 
|}
 
|}
  
 +
=='''그래프'''==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한산대첩/한산대첩.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참고문헌'''==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주석'''==
 
=='''주석'''==

2017년 4월 20일 (목) 00:54 판


김형구-한산대첩
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
작가 김형구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이순신 장군이 지휘하는 조선 수군이 한산 앞바다에서 왜수군을 격퇴하는 장면

설명

작품 소재

임진왜란 때인 1592년 7월 한산도 앞바다에서 전라좌수사 이순신와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전선 48척과 경상우수사 원균의 전선 7척이 연합하여 왜장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73척의 왜 수군 주력대를 무찌른 해전이다.

작품 구도

적진 깊숙이 돌진해 들어간 거북선 3척이 화면 중앙에 그려져 있고, 바다 곳곳에 왜군들의 시신과 침몰한 왜선의 잔해가 떠있다. 왼편의 왜군의 아타케부네(安宅船)를 향해 거북선이 돌격해 가고 있고 반대편의 판옥선에는 조선군의 지휘관이 방패로 앞을 가리고 전투를 지휘하고 있다. 조선 수군은 활과 긴 창을 주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거리 포격이 아닌 지근 거리에서 화포를 수평으로 사격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시각적 안내

거북선김태 「한산대첩」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형구 김형구-한산대첩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형구-한산대첩 한산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이순신 한산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억기 한산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원균 한산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와키자카 야스하루 한산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거북선 한산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형구가 김형구-한산대첩를 제작하였다.
1979년 국회사무처가 김형구-한산대첩를 대여하였다.
1998년- 전쟁기념관가 김형구-한산대첩를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김형구-한산대첩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34.794387 128.471667 이순신한산도 제승당에 배향되었다.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