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번째 줄: 10번째 줄: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ref> 권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ref> 권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16번째 줄: 16번째 줄: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구는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나 필선이라는 관직은 [[공양왕|공양왕(恭讓王)]] 때 서연(書筵) 기구를 정비하면서 처음 만들었다. 이때는 4품관으로 좌·우 2원을 두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구는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나 필선이라는 관직은 [[공양왕|공양왕(恭讓王)]] 때 서연(書筵) 기구를 정비하면서 처음 만들었다. 이때는 4품관으로 좌·우 2원을 두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조선시대 관직의 변천===
 
===조선시대 관직의 변천===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조(太祖) 즉위 때의 관제에서도 좌·우필선(左右弼善: 正四品)을 두었으나 1461년(세조 7) 5월에 1원으로 줄여 필선으로 했고,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법제화되었다. 초기에는 [[사헌부]] 집의(執義: 從三品)나 [[사간원]] 사간(司諫: 從三品)이, [[세종]] 때는 [[집현전]] 관원이 겸임하기도 했으나 [[경국대전]] 이후로는 바로 위의 관원인 보덕(輔德: 正三品 堂上) 이상만 겸임관이고 필선은 전임관(專任官)으로 만들었다. 1529년(중종 24) 다시 겸필선(兼弼善: 正四品) 1원을 증원했다. 겸필선은 속대전에 수록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조(太祖) 즉위 때의 관제에서도 좌·우필선(左右弼善: 正四品)을 두었으나 1461년 5월에 1원으로 줄여 필선으로 했고,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법제화되었다. 초기에는 [[사헌부]] 집의(執義: 從三品)나 [[사간원]] 사간(司諫: 從三品)이, [[세종]] 때는 [[집현전]] 관원이 겸임하기도 했으나 [[경국대전]] 이후로는 바로 위의 관원인 보덕(輔德: 正三品 堂上) 이상만 겸임관이고 필선은 전임관(專任官)으로 만들었다. 1529년(중종 24) 다시 겸필선(兼弼善: 正四品) 1원을 증원했다. 겸필선은 속대전에 수록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관직의 주요직무===
 
===관직의 주요직무===
 
주요직무는 세자의 강학(講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ref> 권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주요직무는 세자의 강학(講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ref> 권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2번째 줄: 22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49번째 줄: 4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
 
*사료
 
*사료
 
** 『태조실록(太祖實錄)』
 
** 『태조실록(太祖實錄)』
56번째 줄: 57번째 줄: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대전회통(大典會通)』
 
** 『대전회통(大典會通)』
 
+
-->
 +
*권연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508  필선(弼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71978&cid=42922&categoryId=4292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11월 4일 (토) 11:34 판

필선
(弼善)
대표명칭 필선
한자표기 弼善
유형 관직


정의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1]

내용

관직의 기원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구는 고려시대부터 있었으나 필선이라는 관직은 공양왕(恭讓王) 때 서연(書筵) 기구를 정비하면서 처음 만들었다. 이때는 4품관으로 좌·우 2원을 두었다.[2]

조선시대 관직의 변천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조(太祖) 즉위 때의 관제에서도 좌·우필선(左右弼善: 正四品)을 두었으나 1461년 5월에 1원으로 줄여 필선으로 했고, 이것이 경국대전에서 법제화되었다. 초기에는 사헌부 집의(執義: 從三品)나 사간원 사간(司諫: 從三品)이, 세종 때는 집현전 관원이 겸임하기도 했으나 경국대전 이후로는 바로 위의 관원인 보덕(輔德: 正三品 堂上) 이상만 겸임관이고 필선은 전임관(專任官)으로 만들었다. 1529년(중종 24) 다시 겸필선(兼弼善: 正四品) 1원을 증원했다. 겸필선은 속대전에 수록되었다.[3]

관직의 주요직무

주요직무는 세자의 강학(講學)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필선 순명효황후 한글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필선 세자시강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필선 강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국대전 필선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주석

  1. 권연웅, "필선(弼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권연웅, "필선(弼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연웅, "필선(弼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필선(弼善)", 관직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