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원 등 고목 (해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장서각강독문안내
 
{{장서각강독문안내
|URL=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idx=36
+
|URL=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3&idx=36
 
}}
 
}}
  
[[file:한글팀 이사원등 고목.jpg|800xpx|center]]
+
[[file: 이사원 등 고목.jpg|800xpx|center]]
 +
 
 
==원문과 해석문==
 
==원문과 해석문==
 
{{옛한글해독
 
{{옛한글해독
31번째 줄: 32번째 줄:
 
|해석문=12계축(癸丑) 7월 고목(告目) 사분(沙盆) 2속(束)5개(介)
 
|해석문=12계축(癸丑) 7월 고목(告目) 사분(沙盆) 2속(束)5개(介)
 
}}
 
}}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clickable button|[[이사원 등 고목|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div>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clickable button|[[이사원 등 고목|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div>
 +
 
==주석==
 
==주석==
<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references/></span>
+
<references/>
 +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분류:한글고문서]][[분류:해독자료]]

2017년 10월 2일 (월) 02:36 판

Pici.png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이사원 등 고목 (해독)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도민(島民)등(等)고목(告目)
근복문(謹伏問)시시(時時)의 셔방(書房)임긔쳬후(氣體候)어더옵신지 복모구구(伏慕區區)무임하셩(無任下誠) 지지(之至)로소이다
도민등은복몽하훌지(伏蒙下恤之澤)와 ■(의)근근지보(僅僅持保)오 금연(今年)도지(生道之事)도육(島陸)간(間)달을업온니 엇지다앙달(仰達)올니가
취(就白)금연(今年) 감곽(甘藿)의슈상납(依數上納)옵고 거연(去年)미납(未納條)二졉(貼)옵고 소각五束니옵고 어유(魚油)一斗二升五合과 거연(去年)미(未納)一升와 젼복一졉五곳(串)과 거연(去年)미납(未納條)一곳(串)실(悉)샹납(上納)온니밧옵시물 쳔만복망(千萬伏望)니옵다
여(餘)슈로총총(愁勞悤悤)야 불비(不備)복유(伏惟)로니다
癸丑七月초十日 니원 최쳔손 박몽치 등拜上
未納追捧記 沙魚
油一升又八升八合 秋等頉條
藿三貼五束鰒一串
聞喜逋二片藿十二束
在四貼四束
癸丑七月告目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