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요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요세 |영문명칭= |한자=了世 |생년= |몰년= |시호= |호=법운(法雲), 법유자(法遊子) |휘= |법호= |탑호=...)
 
7번째 줄: 7번째 줄:
 
|생년=
 
|생년=
 
|몰년=
 
|몰년=
|시호=
+
|시호=원묘(圓妙)
 
|호=법운(法雲), 법유자(法遊子)
 
|호=법운(法雲), 법유자(法遊子)
 
|휘=
 
|휘=
 
|법호=
 
|법호=
|탑호=
+
|탑호=중진(中眞)
 
|자=안빈(安貧)
 
|자=안빈(安貧)
 
|이칭=
 
|이칭=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
12세 때 강양(江陽)의 천락사(天樂寺) 균정(均定)의 제자가 되어 천태 교관(天台敎觀)을 배우고 그 후 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
 +
{blockquote
 +
|대사의 휘는 요세(了世)요, 자는 안빈(安貧)이며, 속성은 서씨(徐氏)인데, 신번(新繁, 지금의 경남 의령(宜寧)) 고을 사람이다. 아버지 필중(必中)은 호장(戶長)이 되고, 어머니 서씨도 같은 고장 사람이다. 대정(大定) 계미년(의종 17, 1163) 겨울 10월에 탄생하였다.
 +
|출처=백련사 원묘국사비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21
 +
|}
 +
 +
 
<ref>서윤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331 요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서윤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331 요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10월 1일 (일) 23:18 판

요세(了世)
BHST Monk1.png
대표명칭 요세
한자 了世
시호 원묘(圓妙)
법운(法雲), 법유자(法遊子)
탑호 중진(中眞)
안빈(安貧)
성씨 서씨(徐氏)
출신지 경상남도 합천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내용

12세 때 강양(江陽)의 천락사(天樂寺) 균정(均定)의 제자가 되어 천태 교관(天台敎觀)을 배우고 그 후 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 {blockquote |대사의 휘는 요세(了世)요, 자는 안빈(安貧)이며, 속성은 서씨(徐氏)인데, 신번(新繁, 지금의 경남 의령(宜寧)) 고을 사람이다. 아버지 필중(必中)은 호장(戶長)이 되고, 어머니 서씨도 같은 고장 사람이다. 대정(大定) 계미년(의종 17, 1163) 겨울 10월에 탄생하였다. |출처=백련사 원묘국사비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1621 |}


[1]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탁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탁연 수선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탁연 최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탁연 보한집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서윤길, "요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서윤길, "요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