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지엄(중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45번째 줄: 45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탁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두순]] || [[지엄(중국)]]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탁연]] || [[수선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법상]] || [[지엄(중국)]]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탁연]] || [[최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지정]] || [[지엄(중국)]]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탁연]] || [[보한집]]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mentions B
+
| [[지엄(중국)]] || [[화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지엄(중국)]] || [[화엄경수현기]]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지엄(중국)]] || [[박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지엄(중국)]] || [[법장]]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지엄(중국)]] || [[혜효]]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지엄(중국)]] || [[회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지엄(중국)]] || [[의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2017년 10월 1일 (일) 17:58 판

지엄(智儼)
BHST Monk1.png
대표명칭 지엄
한자 智儼
지상대사(至相大師), 운화존자(雲華尊者)
성씨 조씨(趙氏)
출신지 천수(天水, 지금의 간쑤(甘肅)성 텐수이)


정의

중국 수나라-당나라 시대의 화엄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지엄(智儼, 602-668)은 천수(天水, 지금의 간쑤(甘肅)성 텐수이) 사람으로 속세의 성은 조(趙)이다. 부친은 신주(申州, 지금의 허난성 신양(信陽)시) 참군(参軍, 참모)을 지낸 조경(趙景)이라 했다.[1]

출가 수행

어릴 때부터 불도(佛道)에 뜻을 두어 놀이를 할 때도 항상 돌을 쌓아 탑을 만들거나 친구들을 청중으로 삼아 스스로 법사(法師)를 맡았다. 12살 때 두순(杜順)을 따라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 가서 두순의 제자 달법사(達法師)에게 배워 밤낮 정성을 다했다. 14살 때 출가(剃染) 하고, 나중에 법상(法常)에게 『섭대승론(攝大乘論)』을 들었다. 20살 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2]

활동

지정(智正)에게 『화엄경(華嚴經)』을 배우면서 장경(藏經)을 두루 열람하고 여러 가지 주석서를 찾으면서 『십지론(十地論)』 육상원융(六相圓融)의 뜻을 깊이 연구해 크게 계발(啓發)되었다. 27살 때 『화엄경수현기(華嚴經搜玄記)』를 편찬해 일종(一宗)의 규모를 완성했다. 항상 화엄을 강설하면서 화도(化導)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일찍이 지상사에 있어 지상대사(至相大師)로 불렸고, 만년에는 운화사(雲華寺)에 있어 운화존자(雲華尊者)로도 불렸다.[3]


입적

당 고종 총장(總章) 원년(668)에 청정사(清淨寺)에서 원적(圓寂, 승려의 사망을 칭함)했다. 그의 문하에 박진(薄塵), 법장(法藏), 혜효(慧曉), 회제(懷齊), 의상(義湘, 신라의 승려) 등이 있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두순 지엄(중국)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법상 지엄(중국)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정 지엄(중국)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엄(중국) 화엄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엄(중국) 화엄경수현기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지엄(중국) 박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엄(중국) 법장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엄(중국) 혜효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엄(중국) 회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지엄(중국) 의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지엄"
  2. "지엄,
  3. "지엄"
  4. "지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