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대표명칭 = 권근
+
|사진=
|DB유형 = 민족기록화
+
|사진출처=
|인물명 = 권근(權近)
+
|대표명칭=권주
|이칭/호 = 가원(可遠), 양촌(陽村)
+
|한자표기=權鑄
|시대/국적 = 고려~조선
+
|영문명칭=
|출생-사망 = 1352년∼1409년
+
|본관=안동(安東)
|성격 = 문신
+
|이칭=
|유형 =  
+
|시호=
|대표직책/관직 = 중추원사, 정당문학, 대사헌
+
|호=춘수당(春睡堂), 모명재(慕明齋)
|image = 권근.jpg
+
|자=자지(子止)
 +
|생년=?
 +
|몰년=1394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
 +
|국적=
 +
|대표저서=
 +
|대표직함=
 +
|배우자=정빈(鄭頻)의 딸
 +
|부=권염(權廉)
 +
|모=조련(趙蓮)의 딸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문신, 서예가, 공신
 +
|유형=인물
 
}}
 
}}
  
==개요==
+
=='''정의'''==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하여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정도전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윤이·이초의 옥사에 연루되어 한때 청주옥에 구금되기도 하였다. 뒤에 다시 익주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어 충주에 우거(寓居)하던 중 조선왕조의 개국을 맞았다.<br/>
+
고려 후기의 문신·서예가.
조선왕조에 출사하여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 등을 지냈고, 1396년(태조 5) 이른바 표전문제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 정종 때는 정당문학·대사헌 등을 역임하면서 사병 혁파를 건의하여 단행하게 하였다.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고 찬성사(贊成事)에 올랐다.<br/>
 
권근은 《양촌집》에 최무선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적었으며, 태종이 화약 병기의 개발을 추진하던 때에 상소를 올려 목화씨를 도입했던 문익점의 후손과 화약을 발명한 최무선의 후손을 특별히 관직에 임용할 것을 건의하였다. 태종은 그의 건의를 받아들여 [[최해산]]은 태종 1년(1401년) 3월에 [[군기시]] 주부로 특채되었다.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
=='''내용'''==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의 주요 인물 [[최무선]]을 숭양하여 그의 아들 [[최해산]]을 관직에 특채할 것을 건의하였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지식관계망'''==
{| class="wikitable"
+
"그래프 삽입"
! 노드 || 관계 || 노드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최무선]]||~에 의해 찬양되었다||[[권근]]
 
|-
 
|[[최해산]]||~과 관련된다||[[권근]]
 
|-
 
|[[권근]]||~의 저자이다||[[양촌집]]
 
|-
 
|[[권근]]||~에 기록되어 있다||[[조선왕조실록]]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분류:인물]] [[분류:승탑/작성중]]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
===갤러리===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4246&cid=40942&categoryId=34297 권주],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박천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066 권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인물]]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10월 6일 (금) 23:21 판

권주(權鑄)
대표명칭 권주
한자표기 權鑄
생몰년 ?-1394
본관 안동(安東)
춘수당(春睡堂), 모명재(慕明齋)
자지(子止)
배우자 정빈(鄭頻)의 딸
권염(權廉)
조련(趙蓮)의 딸
성격 문신, 서예가, 공신
유형 인물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서예가.

내용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 권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박천식, "권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