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유물유적정보
| + | #REDIRECT [[은진송씨 동춘당가]] |
− | |사진=한글팀_진양하씨_단지종택01.jpg
| |
− | |사진출처= 기록유산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개발 연구팀
| |
− | |대표명칭=진양하씨 단지종택
| |
− | |한자표기=晉州 丹牧理 澹山古宅
| |
− | |영문명칭=House of Damsan in Danmok-ri, Jinju
| |
− | |이칭=진양하씨 단목종택, 진주 단목리 하협종택, 진주 단목리 담산고택
| |
− | |유형= 주택(한옥)
| |
− | |시대= 조선
| |
− | |지정번호=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38호
| |
− | |지정일=
| |
− | |소장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
| |
− | |경도=35.257146
| |
− | |위도=128.136781
| |
− | |수량=
| |
− | |관련인물=하협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호산춘주 제조법]]
| |
− | }}
| |
− | | |
− | =='''정의'''==
| |
− | 진양하씨 [[하협|단지 하협]]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종택이다.
| |
− | | |
− | =='''내용'''==
| |
− | ===진양하씨와 남명학파===
| |
− | 진양하씨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진주에 세거하였다. 다수의 과거급제자와 훌륭한 인물을 배출하면서 명문가문으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뿐만 아니라 [[하륜]]의 조선 건국과정에서의 활약과 진주정씨와의 혼인을 통해 진주지역에서 강력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하순경]]과 그 아들 [[하기룡]]대에 비봉산 아래를 떠나 거주지를 변경하였다. [[하순경]]은 진주부 남쪽으로 [[하기룡]]은 진주부 북쪽의 단목리로 이주하였다. 하기룡의 후손들은 단목리를 중심으로 활발한 학문활동을 통해 사회적 기반을 유지·강화해갔다. 특히 [[하숙]]의 아들 [[하위보]], [[하진보]], [[하국보]]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의 계기를 마련한다. 하위보와 하국보는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하진보는 1554년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이들 3형제는 모두 남명 [[조식]]의 문인이었다. 하진보는 신산서원(新山書院)을 건립하여 남명의 위패를 봉안하였고, 하위보도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명의 학문전파에 기여한 바가 컸다. 하위보와 하진보의 남명학파내에서의 위치와 그들의 활동에 힘입어 하위보의 아들 단지 [[하협]]과 그 후손들 또한 남명학파의 핵심구성원으로서 활약하게 되었기에 17세기 이후 단목리는 진양하씨의 세거지인 동시에 남명학파의 본거지로 자리잡았다.
| |
− | <ref>정수환·박준호, 「晋州 晋陽河氏 丹池宗宅 所藏 典籍類의 내용과 그 성격」,
| |
− | 『장서각』6,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211-214쪽.</ref>
| |
− | | |
− | ===단지종택의 건립과 구조===
| |
− | 단지 [[하협]]이 분가할 때 터를 정해 지은 집이다. 당시 집터를 조성하고 땅을 고를 때 나무 위에 앉아 있던 학(鶴) 두마니라 앞산으로 날아갔다고 해서 이곳을 '해기터(학터:鶴基)'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ref>"[http://jinyangha.com/htmls/sadang/jinha02-6-0.htm?sadang=jinha02-6-35.htm 단지공 하협종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진양하씨종사연구회』<sup>online</sup></online></html>, 진양하씨종사연구회.</ref>
| |
− | 경상남도에서는 이 단지종택을 창주의 후손인 담산 하우식(1875~1943)의 호를 따서 담산고택으로 명명하였다. 단지종택은 가운데 솟을대문이 있는 중심채영역과 좌우에 담장으로 구획된 아래채영역, 윗채영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1864년, 사랑채는 1871년에 건립되었는데, 두 건물은 단파 하계룡(1851~1932)에 의하여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며, 그의 아들 담산 [[하우식]]에 의하여 1923년 중수되었다. 별채는 1916년에 건립되었다.<ref>경상남도, "진주 단목리 담산고택" 문화재
| |
− | 안내판.</ref> 그외에 광채, 행랑채, 부속사, 정암정, 문간채 등이 있고 마당에는 효자목이라는 감나무가 있다. 광채는 내부는 고쳤으나 외형은 남아있어 지방사족의 가옥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1800년대 중엽부터 1900년대 중엽까지 차례대로 건물이 지어져서 가옥의 형태변화를 살필 수 있어 고건축 연구에도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ref>"[http://tour.jinju.go.kr/06heritage/03_03.jsp?amode=_viw&cult_sno=604&cpage=7 진주 단목리 담산고택]", 문화유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진주시청』<sup>online</sup></online></html>, 진주시.</ref>
| |
− | | |
− | 최근에 종손 순봉이 본채인 단지세장(丹池世庄)의 양쪽에 집을 지었는데 동쪽는 조부 묵재공을 위해 묵재재실이라 이름짓고, 서쪽은 목림서실이라 이름짓고 자신의 서재로 삼았다.
| |
− | | |
− | ===진양하씨 단지종택 소장 고문헌===
| |
− | 현재 고택 내에는 행정 [[하진태]]의 효행관련문헌을 포함한 고문서 약 5000점, 고서 약 3000책 등 많은 고문헌들이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이를 모아 『고문서집성』45권으로 발간하였다. 진양하씨 가문은 대부분 남명 조식의 문인이거나 그 학파에 속하는 인물들이었다. 진양하씨 단지종택에 남아있는 많은 고문헌들에도 이들의 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ref>허창식·안승준, 「[http://archive.aks.ac.kr/heje/heje.aspx?booknum=60 晋州 丹牧 晋陽河氏의 사회적 지위와 家傳 고문서에 대한 고찰]」, 한국고문서자료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자료센터』<sup>online</sup></online></html>,
| |
− |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호산춘주 제조법]] || {{PAGENAME}} || A는 B에 보관되었다 ||
| |
− | |-
| |
− | | {{PAGENAME}} || [[하협]] || A는 B에서 이름을 땄다 ||
| |
− | |-
| |
− | | {{PAGENAME}} || [[진양하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PAGENAME}} || [[하기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5세기 중엽
| |
− | |-
| |
− | | [[하기룡]] || [[진양하씨]] || A는 B에 소속된다 ||
| |
− | |-
| |
− | | [[하기룡]] || [[하숙]] || A는 B의 후손이다 ||
| |
− | |-
| |
− | | [[하숙]] || [[하위보]]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
| |
− | | [[하숙]] || [[하진보]]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
| |
− | | [[하숙]] || [[하국보]]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
| |
− | | [[하위보]] || [[조식]] || A는 B의 제자이다 ||
| |
− | |-
| |
− | | [[하진보]] || [[조식]] || A는 B의 제자이다 ||
| |
− | |-
| |
− | | [[하국보]] || [[조식]] || A는 B의 제자이다 ||
| |
− | |-
| |
− | | [[하위보]] || [[하협]]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
| |
− | | [[하계룡]] || [[하협]] || A는 B의 후손이다 ||
| |
− | |-
| |
− | | [[하계룡]] || [[하우식]]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
| |
− | | [[하계룡]] || {{PAGENAME}} 안채 || A는 B를 건립하였다 || 1864년
| |
− | |-
| |
− | | [[하계룡]] || {{PAGENAME}} 사랑채 || A는 B를 건립하였다 || 1871년
| |
− | |-
| |
− | | [[하계룡]] || {{PAGENAME}} 별채 || A는 B를 건립하였다 || 1916년
| |
− | |-
| |
− | |}
| |
− | | |
− | ===시간 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5세기 중엽 || [[하기룡]]이 단목리로 이거하였다.
| |
− | |-
| |
− | | 1864년 || [[하계룡]]이 {{PAGENAME}} 안채를 건립하였다
| |
− | |-
| |
− | | 1871년 || [[하계룡]]이 {{PAGENAME}} 사랑채를 건립하였다
| |
− | |-
| |
− | | 1916년 || [[하계룡]]이 {{PAGENAME}} 별채를 건립하였다
| |
− | |-
| |
− | |}
| |
− | | |
− | ===공간 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5.257146 || 128.136781 || {{PAGENAME}}은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마을에 위치한다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2 문화재안내판.JPG | 문화재안내판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3 책판안내판.JPG | 책판안내판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4 장서실.JPG | 장서실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5 전경.JPG | 전경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6 소장고문서 사진01.JPG | 소장고문서 사진01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7 문화재자료등록지정서.JPG | 문화재자료등록지정서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8 책판.JPG | 책판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9 소장고문헌.JPG | 소장고문헌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0 소장고문서사진02.JPG | 소장고문서 사진02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1 오성전자표창장.JPG | 오성전자표창장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2.JPG |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3.JPG |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4.JPG |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5 내부연못.JPG | 내부연못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6 안채.JPG | 안채
| |
−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7 사랑채.JPG | 사랑채
| |
− | </gallery>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참고 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단행본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명가의 고문서1 선비가의 묵향 : 진양하씨 창주후손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집성(47)-진주 단목 진양하씨 창주후손가(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집성(48)-진주 단목 진양하씨 창주후손가(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 |
− | *논문
| |
− |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진양하씨 창주가의 토족적 위상 - 사회경제적 기반을 중심으로」, 『남명학연구』25,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8.
| |
− | *#장서각, 「晉州 晉陽河氏 滄洲後孫家所藏 典籍[文集類]의 현황과 내용」, 『장서각』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 |
− | *#조계영, 「문중의 고문헌 관리와 보존 - 진주 진양하씨 단지종택 사례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27, 한국고문서학회, 2005.
| |
− | *웹자원
| |
− | *#김규형,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ju&dataType=99&contents_id=GC00430016 진주 담산 고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진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문화유산]]
| |
− | [[분류:이혜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