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경주 동천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4번째 줄: 14번째 줄:
 
|교구정보=  
 
|교구정보=  
 
|건립시기=  
 
|건립시기=  
|창건자=  
+
|창건자= [[신라 진평왕]]
 
|경내문화재=
 
|경내문화재=
 
}}
 
}}
33번째 줄: 33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개성 현화사]] || [[고려 현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경주 동천사]] || [[신라 진평왕]] ||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
 
| [[개성 현화사비]]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개성 현화사 칠층석탑]]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개성 현화사 당간지주]]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개성 현화사 석등]] || [[개성 현화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48번째 줄: 40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4&cp_code=rp0703&index_id=rp07030551&content_id=rp070305510001&search_left_menu= 동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817 동천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16일 (토) 16:43 판

경주 동천사
(慶州 東泉寺)
대표명칭 경주 동천사
한자 慶州 東泉寺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창건자 신라 진평왕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있었던 절.

내용

동천사(東泉寺)는 신라시대 때 경주에 지어졌으며, 진평왕박혁거세가 알에서 나와 목욕한 동천(東泉)에 창건한 절이다.[1]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동해의 용왕이 이 절에 자주 와서 법문을 들었고, 진평왕이 오백성중(五百聖衆)[2]의 봉안과 함께 오층탑을 세웠으며 전답을 헌납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3]

현재 절터에는 석탑의 부재들과 석조물이 흩어져 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경주 동천사 신라 진평왕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주석

  1. "동천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오백 인의 성중. 성중은 극락 세계에 있는 온갖 보살을 뜻함.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오백성중",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장충식, "동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장충식, "동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동천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장충식, "동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