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작가정보
|국문명 = 이종상<ref>[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11&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C0%CC%C1%BE%BB%F3 "이종상"],『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소개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4일 확인)</ref>
+
|사진= 이종상.jpg
|한자명 = 李鍾祥
+
|사진출처=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11&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C0%CC%C1%BE%BB%F3 이종상]", 회원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예술원』<sup>online</sup></online></html>, 대한민국예술원.
|영문명 = Lee Jong sang
+
|대표명칭 = 이종상
|출생 - 사망 = 1938.07.20 -
+
|한자표기 = 李鍾祥
 +
|영문명칭 = Lee Jong-sang
 +
|본명 =
 +
|호 =일랑(一浪)
 +
|생년 =  1938년 7월 20일
 +
|몰년 =
 
|출생지 = 충남 예산
 
|출생지 = 충남 예산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동양화가
 
|분야 = 동양화가
|대표작품 = [http://www.daarts.or.kr/visual-arts-detail 독도의 기 II]
+
|필드수 =10
|image = 이종상.jpg
 
 
}}
 
}}
  
=='''작가소개'''==
+
=='''정의'''==
 +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
 
 +
=='''내용'''==
 +
===출생 및 학업===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나 대전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년기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고등학교 시절에는 건축 공부를 하고자 하였으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한 후 국전에 출품하여 연속 특선함으로써 화단의 주목을 받았으며 졸업과 동시에 국전사상 최연소 추천작가가 되었다.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나 대전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년기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고등학교 시절에는 건축 공부를 하고자 하였으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한 후 국전에 출품하여 연속 특선함으로써 화단의 주목을 받았으며 졸업과 동시에 국전사상 최연소 추천작가가 되었다.
 
+
===작품세계===
 
국전에서 건설현장 등을 소재로 사실적인 표현의 수묵화로 등단한 그는 회화의 재료나 도구는 물론 조형형식과 이론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추상과 구상, 수묵과 채색, 그리고 전통적인 초상화와 벽화에 이르기까지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폭넓은 작품영역을 보여주었다. 1960년대에는 고구려 고분벽화를 연구하면서 한국의 미와 동양화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하였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독도를 찾아 실경을 그리고 전시하면서 독도문화심기운동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이후로도 자연과 인간을 바탕으로 하는 동양의 전통적인 조형적 이념을 형상화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지속하여 왔다.
 
국전에서 건설현장 등을 소재로 사실적인 표현의 수묵화로 등단한 그는 회화의 재료나 도구는 물론 조형형식과 이론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추상과 구상, 수묵과 채색, 그리고 전통적인 초상화와 벽화에 이르기까지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폭넓은 작품영역을 보여주었다. 1960년대에는 고구려 고분벽화를 연구하면서 한국의 미와 동양화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하였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독도를 찾아 실경을 그리고 전시하면서 독도문화심기운동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이후로도 자연과 인간을 바탕으로 하는 동양의 전통적인 조형적 이념을 형상화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지속하여 왔다.
  
=='''학력'''==
+
===학력===
*196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
*196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78 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
+
*1978 [[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
  
=='''경력'''==
+
===경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서울대학교미술관, 박물관 관장
 
*서울대학교미술관, 박물관 관장
*문화재위원회 박물관분과위원회 전문위원
+
*[[문화재위원회]] 박물관분과위원회 전문위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전시'''==
+
===전시===
 
*1963  제1회 동경국제미술전람회, 일본
 
*1963  제1회 동경국제미술전람회, 일본
 
*1969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1969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44번째 줄: 52번째 줄:
  
  
=='''수상'''==
+
===수상===
 
*1961  제10회 국전 동양화부 특선  
 
*1961  제10회 국전 동양화부 특선  
 
*1962  제1회 신인예술상 최고상
 
*1962  제1회 신인예술상 최고상
50번째 줄: 58번째 줄:
 
*2003  은관문화문장
 
*2003  은관문화문장
  
 
+
=='''지식 관계망'''==
=='''주요작품'''==
+
===관계정보===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파일:이종상-광개토대왕.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69&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1410966_QFK0GK7UC.jpg%2F%2528%25EA%25B4%2591%25EA%25B0%259C.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17&categoryId=46765 광개토대왕 영토확장도, 1982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파일:이종상-흙에서.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77&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1542886_K8EUGZMG4.jpg%2F%2528%25EC%259B%2590%25ED%2598%2595.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02&categoryId=46753 원형상-흙에서, 1990년]
 
파일:이종상-독도.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98&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2327728_YBSR0PZL6.jpg%2F110601-15%25EC%259D%25BC.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17&categoryId=46765 독도귀어도, 1983년]
 
</gallery>
 
 
 
=='''민족기록화'''==
 
<gallery>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이종상-태종무열왕]]
 
</gallery>
 
 
 
=='''그래프'''==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이종상.htm 임시]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이종상.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PAGENAME}}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A는 B를 그렸다
 
|-
 
|{{PAGENAME}} ||[[이종상-태종무열왕]] || A는 B를 그렸다
 
|-
 
|{{PAGENAME}}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A는 B를 그렸다
 
|-
 
|{{PAGENAME}}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A는 B를 그렸다
 
 
|-
 
|-
|{{PAGENAME}} ||[[표준영정]] || A는 B를 그렸다
+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이종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http://naa.go.kr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 [[이종상-태종무열왕]] || [[이종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일랑미술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이종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벽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이종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제작연도|| 1975년
+
| [[대한민국예술원]] || [[이종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이종상-태종무열왕]] 제작연도|| 1976년
+
| [[이종상]] ||[[일랑미술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제작연도|| 1977년
+
| [[이종상]]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제작연도|| 1979년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대한민국미술대전]] ||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
 
|-
|{{PAGENAME}}||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가입연도|| 2004년
+
| [[이종상]]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이종상]] || [[동국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사이트
+
===갤러리===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11&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C0%CC%C1%BE%BB%F3 "이종상"],『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소개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4일 확인)<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92#1 "이종상"],『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4일 확인)<br/>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종상 장비 01.jpg| 장비, 1963, 화선지에 수묵담채, 290x20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김남수, "[http://www.galleryartkorea.kr/Main/Main.asp?GotoPage=200308/12/12/200308121219&BK_Main=200308 35年의 '停年退任記念展'을 갖는 一浪 李鍾祥 藝術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전망한다.]", 정년퇴임기념 작품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 서울아트코리아』<sup>online</sup></online></html>, 월간 서울아트코리아.</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8093&cid=40942&categoryId=33385 "이종상"],『두산백과』,doopedia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3월 14일 확인)<br/>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종상 독도 일출 01.jpg| 독도 일출, 1982, 종이에 수묵채색, 162x320<ref>Mochilero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ear6115&logNo=150168378076&parentCategoryNo=&categoryNo=26&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난 이런 것도 있다 <독도명예주민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초코별에서 온 여행자』<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05월 21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이종상-태종무열왕]]
 +
</gallery>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이종상, 『화실의 창을 열고』, 경미문화사, 1980.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선집』, 특집 13 이종상, 금성출판사, 1982
 +
#*『이것이 한국화다 : 일랑의 현대진경』, 아트북스, 2002.
 +
#*『이종상, 독도를 그리다』, 미술과 비평, 2011.
 +
 +
===유용한 정보===
 +
# "[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11&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C0%CC%C1%BE%BB%F3 이종상]", 회원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예술원』<sup>online</sup></online></html>, 대한민국예술원.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892#1 이종상]",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18093&cid=40942&categoryId=33385 이종상]",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2017년 9월 19일 (화) 17:34 판

이종상(李鍾祥)
"이종상",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대한민국예술원.
대표명칭 이종상
한자표기 李鍾祥
영문명칭 Lee Jong-sang
생몰년 1938년 7월 20일-
출생지 충남 예산
일랑(一浪)
국적 대한민국
분야 동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내용

출생 및 학업

충청남도 예산에서 태어나 대전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년기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고등학교 시절에는 건축 공부를 하고자 하였으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한 후 국전에 출품하여 연속 특선함으로써 화단의 주목을 받았으며 졸업과 동시에 국전사상 최연소 추천작가가 되었다.

작품세계

국전에서 건설현장 등을 소재로 사실적인 표현의 수묵화로 등단한 그는 회화의 재료나 도구는 물론 조형형식과 이론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추상과 구상, 수묵과 채색, 그리고 전통적인 초상화와 벽화에 이르기까지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폭넓은 작품영역을 보여주었다. 1960년대에는 고구려 고분벽화를 연구하면서 한국의 미와 동양화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하였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독도를 찾아 실경을 그리고 전시하면서 독도문화심기운동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이후로도 자연과 인간을 바탕으로 하는 동양의 전통적인 조형적 이념을 형상화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지속하여 왔다.

학력

경력

전시

  • 1963 제1회 동경국제미술전람회, 일본
  • 1969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덕수궁미술관
  • 1976 한국동양화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81드로잉전, 미국 브루클린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아시아현대채묵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제24회 올림픽기념 국제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1 한국현대회화전,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 순회전
  • 199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현대회화전
  • 1995 The Tiger′s Tail, Mudima미술관, 이태리
  • 1996 한국추상회화의 정신, 호암미술관
  • 2000 An Aspect of Korean Contemporary Art, 국립현대미술관
  • 2003 제1회 북경비엔날레, 북경박물관
  • 2008 부산비엔날레 특별전-미술은 살아있다


수상

  • 1961 제10회 국전 동양화부 특선
  • 1962 제1회 신인예술상 최고상
  • 1962, 63 제11, 12회 국전 무감사 특선 (내각수반상, 문교부장관상)
  • 2003 은관문화문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종상-태종무열왕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대한민국예술원 이종상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종상 일랑미술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종상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대한민국미술대전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이종상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종상 동국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남수, "35年의 '停年退任記念展'을 갖는 一浪 李鍾祥 藝術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전망한다.", 정년퇴임기념 작품전, 『월간 서울아트코리아』online, 월간 서울아트코리아.
  2. Mochilero , "난 이런 것도 있다 <독도명예주민증>", 『네이버 블로그 - 초코별에서 온 여행자』online, 작성일: 2013년 05월 2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이종상, 『화실의 창을 열고』, 경미문화사, 1980.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선집』, 특집 13 이종상, 금성출판사, 1982
    • 『이것이 한국화다 : 일랑의 현대진경』, 아트북스, 2002.
    • 『이종상, 독도를 그리다』, 미술과 비평, 2011.

유용한 정보

  1. "이종상",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대한민국예술원.
  2. "이종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3. "이종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