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용 및 참조) |
(→시간정보) |
||
180번째 줄: | 180번째 줄: | ||
====● 단행본==== | ====● 단행본==== |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6317 최병식, <운보 김기창>, 동문선, 1999.]'''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6317 최병식, <운보 김기창>, 동문선, 1999.]''' | ||
− | |||
− | |||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2017년 9월 11일 (월) 04:05 판
김기창(金基昶) | |
대표명칭 | 김기창 |
---|---|
한자표기 | 金基昶 |
영문명칭 | Kim Ki-chang |
생몰년 | 1913년 2월 18일-2001년 1월 23일 |
출생지 | 서울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동양화가 |
정의
대한민국 동양화가
내용
해방 이전 활동
1913년 서울 운니동에서 8남매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7세에 장티푸스 후유증으로 청각을 상실하였다. 1930년 17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이당 김은호의 문하에 들어가 동양화를 배우기 시작하였으며, 1931년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널뛰기를 소재로 한 <판상도무(板上跳舞)>로 입선였다. 이때 어머니가 운포(雲圃)란 아호를 주었다. 이후 연이어 입선과 특선을 하였고, 이후 두 차례 조선총독상을 수상하였다. 일제강점기 김기창의 작품은 스승 김은호의 화풍을 수용한 일본화풍이 가미된 사실적 채색인물화 중심이었다. 해방과 더불어 호를 '포(圃)' 자에서 사각의 굴레 같은 '口'를 벗겨 운보(雲甫)로 바꾸었으며, 1946년에는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돌아온 박래현과 결혼하였다.
해방 이후 활동
해방 이후에는 일제의 잔재를 벗어나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은 동양화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활동을 보여 여러 편의 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또한 채색과 사실 위주의 화풍에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수묵담채와 서구의 조형원리를 원용한 실험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박래현과 함께 큐비즘의 대상해석 방식을 시도한 작품들과 1960년대 완전히 추상적인 경향을 보이는 작품들, 그리고 1967년 미국과 멕시코 등을 돌아본 후 강렬하고 격정적인 필치와 색채로 제작한 표현주의 경향의 작품들이 그것이다.
부부전 개최
부인 박래현과 1947년 첫 번째로 가진 부부전은 십여 차례에 걸쳐 계속되어 두 사람은 ‘동지’로서 서로를 격려하며 작품을 계속하였는데 위의 실험적인 작품들은 그 결실이라 할 것이다. 한국전쟁 발발로 군산에 피난했던 시절에는 우리나라 사람의 모습에 한복을 입은 《예수의 일생》 연작 30점을 그려 새로운 종교화의 형식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ㅇㅇㅇ
1976년 부인 박래현과 사별 이후에는 독창성 있는 자신의 양식을 새로이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인간과 회화의 순수함을 바탕에 두고 소박하고 자유로운 필치를 담은 화면의 이른바 '바보산수', '바보화조'가 그것이다. 이는 1980년대 들어 전통기법의 산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해학적 분위를 담은 ‘청록산수’와 민화풍의 화조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청록산수는 다작과 반복적인 표현으로 매너리즘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1981년 방문한 파리 근교 지베르니의 '모네의 집'에서 인상을 받은 그는 충북 청원에 '운보의 집'을 짓고 그곳에서 창작과 함께 만년을 보냈다.
백양회 활동
김기창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비판적이었던 작가들과 백양회를 결성해 활동하고, 김은호의 문하생 모임인 후소회 회장을 맡기도 하였으며 홍익대학교와 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또한 만 원 권 지폐의 세종대왕상, 김정호 표준영정, 을지문덕 표준영정 등의 영정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그는 청각장애우를 비롯한 장애우를 위한 활발한 활동을 했는데, 1979년 '한국농아복지회'를 창설하여 초대회장을 맡았고, 1984년에는 서울 역삼동에 청각장애인 복지센터인 '청음회관'을 설립했다.
친일활동 논란
한편 그는 친일활동으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그는 1942년에는 일제의 정책과 전시체제를 지원하는 '반도총후미술전', '조선남화연맹전', '애국백인일수전람회' 등에 참여하였다. 또한 조선 청년의 강제 징집을 고무하는 시화연재물인 「님의 부르심을 받고」의 삽화를 그리는 등의 친일행위로 『친일인명사전』(2009)에 포함되었 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에 그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학력
- 1927 승동보통학교 졸업
- 1930 이당(以堂) 김은호 사사(師事)
- 1988 세종대학교 명예문학박사
경력
- 1940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
- 1947 국립민속박물관 미술부장
- 1954 홍익대 미술학과 전임강사
- 1955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심사위원, 부위원장, 운영위원 (~79)
- 1962 수도여사대 교수 및 회화과장
- 1970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및 고문
- 1979 한국농아복지회 회장
- 1982 제1~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전시
- 1957 현대한국화 초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0 현대한국화가 중국전, 대만, 대남, 홍콩
- 1963 상파울로비엔날레. 한·일·태 3개국 3인전, 스위스
- 1968 세계문화자유초대전
- 1971 프랑스 한국현대회화제
- 1973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서도 50년 기념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화 100년전, 호암갤러리
- 1988 국제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1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3 팔순기념 회고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2 바보 천재 운보 그림전,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선전 입선 및 특선 각 연4회
- 제16회 선전 창덕궁상, 제17회 선전 총독상
- 1963 5월문예상
- 1971 3·1문화상
- 1977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81 국민훈장 모란장
- 1982 중앙문화대상 대상
- 1983 대한민국예술원상
- 1986 5·16민족상(사회부문), 서울시문화상(미술부문)
- 1991 인촌상
- 1996 의제 허백련 미술상
- 2001 금관문화훈장 추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은호 | 김기창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김기창 | 박래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김기창-명량대첩 | 김기창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기창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기창 | 인상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국미술협회 | 김기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대한민국전람회 | 대한민국미술대전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김기창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강대운-진주성싸움이 강대운에 의해 그려졌다 |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김기창 | 김은호 사사연도 | 1930년 |
김기창 | 김기창-명량대첩 제작연도 | 1973년 |
김기창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가입연도 | 1981년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갤러리
계절, 캔버스에 유채, 450×200cm, 대검찰청소장[1]
추양, 1966, 캔버스에 유채, 174x10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
공작, 1984, 캔버스에 유채, 145x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주석
- ↑ 좌영길, "예술작품산책 : 대검 청사 '계절'", 『법률신문』, 2012년 3월 5일.
- ↑ "추양",
『마이셀럽스』online , (주)마이셀럽스. - ↑ "공작",
『마이셀럽스』online , (주)마이셀럽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김기창, 『침묵의 심연에서-나의 화필 60년』, 법조각, 1988. 이일 외, 『운보 김기창』, 에이피 인터내셔날, 1989. 김기창, 『나의 사랑과 예술』, 정우사, 1993.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4: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 현대문화사, 2009.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1, 2009.
● 전문기관 저작물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기창"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보도방송 저작물
- <자유아시아방송> 최윤정 기자의 기사 "운보 김기창 화백의 특별 전시회(작성시기 알 수 없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격월간 시대정신> 서성록 안동대 미술학과 교수의 기고문 "운보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2013년 겨울호)"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이대학보> 나혜연 기자의 기사 "김기창과 박래현(2002년 09월 3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공공이용 저작물
- 위키백과 "김기창"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나무위키 "김기창"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개인공간 저작물
- 개인블로거 Sang Kim의 게시물 "운보 김기창 화백의 생애와 그림(2014년 04월 3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 개인블로거 helmut_lang의 게시물 "친일미술, 이당 김은호와 운보 김기창(2015년 07월 10일)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 (2016년 12월 27일 확인.)
오프라인 문헌
● 단행본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갤러리
계절, 캔버스에 유채, 450×200cm, 대검찰청소장[1]
추양, 1966, 캔버스에 유채, 174x10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
공작, 1984, 캔버스에 유채, 145x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 민족기록화 작가 김기창 투계 01.jpg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온라인서비스 (2017년 3월 10일 확인)
주석
- ↑ 좌영길, "예술작품산책 : 대검 청사 '계절'", 『법률신문』, 2012년 3월 5일.
- ↑ "추양",
『마이셀럽스』online , (주)마이셀럽스. - ↑ "공작",
『마이셀럽스』online , (주)마이셀럽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이트
- "김기창", 『대한민국예술원 온라인 서비스』, 대한민국예술원. 2017년 03월 10일 확인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운보문화재단
- "김기창", 『대한민국예술원 온라인 서비스』, 대한민국예술원. 2017년 03월 10일 확인
- 단행본
- 김기창, 『침묵의 심연에서-나의 화필 60년』, 법조각, 1988.
- 이일 외, 『운보 김기창』, 에이피 인터내셔날, 1989.
- 김기창, 『나의 사랑과 예술』, 정우사, 1993.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4: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 현대문화사, 2009.
-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1, 2009.
멀티미디어 자료
*운보 김기창 판화전(2014.03.1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