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세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110번째 줄: 110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최정용, 조선조 세조의 국정운영, 신서원, 2000.
+
*김경수, 「세조의 집권과 권력 변동」, 『백산학보』 99, 백산학회, 2014, 39-77쪽.
*최선혜, 조선 세조대 강론(講論)의 시행과 유신(儒臣)의 성장, 역사학연구 57, 호남사학회, 2015, 1-43쪽.
+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사학연구』 98, 한국사학회, 2010, 1-39쪽.
*한충희, 朝鮮(조선) 世祖代(세조대)(1455-1468) 原從功臣硏究(원종공신연구)-1,2等功臣(등공신)을 중심으로-, 조선사연구 22, 조선사연구회, 2013, 1-50쪽.
+
*김용흠, 「조선 세조대 정치를 보는 시각과 생육신」, 『역사와 현실』 64, 한국역사연구회, 2007, 223-263쪽.
*김윤식, 朝鮮 世祖의 學術活動과 書籍文化에 대한 考察, 서지학연구 29, 서지학회, 2004, 15-48쪽.
+
*김윤식, 「朝鮮 世祖의 學術活動과 書籍文化에 대한 考察」, 『서지학연구』 29, 서지학회, 2004, 15-48쪽.
*김용흠, 조선 세조대 정치를 보는 시각과 생육신, 역사와 현실 64, 한국역사연구회, 2007, 223-263쪽.
+
*박정민, 「조선 세조대 여진인 來朝와 귀속문제」, 『전북사학』 41, 전북사학회, 2012, 77-116쪽.
*박진, 朝鮮 世祖의 宗親 양성과 軍事的 역할, 군사 7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9, 97-129쪽.
+
*박진, 「朝鮮 世祖의 宗親 양성과 軍事的 역할」, 『군사』 7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9, 97-129쪽.
*이현지, 세조 어제시 연구, 한국고전연구 2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319-356쪽.
+
*박현모, 「세조(世祖)의 국정운영 방식 연구」,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251-281쪽.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사학연구 98, 한국사학회, 2010, 1-39쪽.
+
*이재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849 세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박현모, 세조(世祖)의 국정운영 방식 연구,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251-281쪽.
+
*이현지, 「세조 어제시 연구」, 『한국고전연구』 2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319-356쪽.
*김경수, 세조의 집권과 권력 변동, 백산학보 99, 백산학회, 2014, 39-77쪽.
+
*정성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540&cid=59015&categoryId=59015 세조]",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박정민, 조선 세조대 여진인 來朝와 귀속문제, 전북사학 41, 전북사학회, 2012, 77-116쪽.
+
*진성규, 「世祖의 佛事行爲와 그 意味」, 『백산학보』 78, 백산학회, 2007, 165-193쪽.
*최승희, 세조대 (世祖代) 국정운영체제, 조선시대사학보 5, 조선시대사학회, 1998, 1-55쪽.
+
*최선혜, 「조선 세조대 강론(講論)의 시행과 유신(儒臣)의 성장」, 『역사학연구』 57, 호남사학회, 2015, 1-43쪽.
*진성규, 世祖의 佛事行爲와 그 意味, 백산학보 78, 백산학회, 2007, 165-193쪽.
+
*최승희, 「세조대 (世祖代) 국정운영체제」, 『조선시대사학보』 5, 조선시대사학회, 1998, 1-55쪽.
*이재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849 세조]",  
+
*최정용, 『조선조 세조의 국정운영』, 신서원, 2000.
*정성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540&cid=59015&categoryId=59015 세조]",
+
*한충희, 「朝鮮(조선) 世祖代(세조대)(1455-1468) 原從功臣硏究(원종공신연구)-1,2等功臣(등공신)을 중심으로-」, 『조선사연구』 22, 조선사연구회, 2013, 1-50쪽.

2017년 9월 2일 (토) 17:59 판

조선 세조(朝鮮 太祖)
대표명칭 조선 세조
한자표기 朝鮮 太祖
생몰년 1417년 11월 2일-1468년 9월 23일
본관 전주(全州)
이칭 이유(李瑈)
시호 세조혜장승천체도열문영무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世祖惠莊承天體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
수지(粹之)
시대 조선
배우자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尹氏)
조선 세종
소헌왕후 심씨
전임자 조선 단종
후임자 조선 예종
능묘 광릉(光陵)
성격
유형 인물




정의

내용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세조 조선 세종 A는 B의 아들이다
조선 세조 정희왕후 윤씨 A는 B의 남편이다
조선 세조 김종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사육신 A는 B와 관련이 있다
김수온 조선 세조 A는 B의 신하이다
조선 세조 호패법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신미 A는 B와 교유하였다
권람 조선 세조 A는 B의 신하이다
한명회 조선 세조 A는 B의 신하이다
양성지 조선 세조 A는 B의 신하이다
의경세자 조선 세조 A는 B의 아들이다
조선 예종 조선 세조 A는 B의 아들이다
의숙공주 조선 세조 A는 B의 딸이다
조선 세조 원구단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동국통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경국대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직전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이시애의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국조보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오륜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단종복위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광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문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석보상절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월인석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역대병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세조대왕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남양주 수종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세조 평창 상원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김경수, 「세조의 집권과 권력 변동」, 『백산학보』 99, 백산학회, 2014, 39-77쪽.
  • 김영두,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사학연구』 98, 한국사학회, 2010, 1-39쪽.
  • 김용흠, 「조선 세조대 정치를 보는 시각과 생육신」, 『역사와 현실』 64, 한국역사연구회, 2007, 223-263쪽.
  • 김윤식, 「朝鮮 世祖의 學術活動과 書籍文化에 대한 考察」, 『서지학연구』 29, 서지학회, 2004, 15-48쪽.
  • 박정민, 「조선 세조대 여진인 來朝와 귀속문제」, 『전북사학』 41, 전북사학회, 2012, 77-116쪽.
  • 박진, 「朝鮮 世祖의 宗親 양성과 軍事的 역할」, 『군사』 7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9, 97-129쪽.
  • 박현모, 「세조(世祖)의 국정운영 방식 연구」,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251-281쪽.
  • 이재호, "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현지, 「세조 어제시 연구」, 『한국고전연구』 2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319-356쪽.
  • 정성희, "세조",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진성규, 「世祖의 佛事行爲와 그 意味」, 『백산학보』 78, 백산학회, 2007, 165-193쪽.
  • 최선혜, 「조선 세조대 강론(講論)의 시행과 유신(儒臣)의 성장」, 『역사학연구』 57, 호남사학회, 2015, 1-43쪽.
  • 최승희, 「세조대 (世祖代) 국정운영체제」, 『조선시대사학보』 5, 조선시대사학회, 1998, 1-55쪽.
  • 최정용, 『조선조 세조의 국정운영』, 신서원, 2000.
  • 한충희, 「朝鮮(조선) 世祖代(세조대)(1455-1468) 原從功臣硏究(원종공신연구)-1,2等功臣(등공신)을 중심으로-」, 『조선사연구』 22, 조선사연구회, 2013, 1-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