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방법)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방법===
 
<pre style="width:500px">
 
 
{{한글고문서
 
{{한글고문서
 
|대표명칭  = 고종윤음
 
|대표명칭  = 고종윤음
19번째 줄: 17번째 줄:
 
|기증기탁처=  
 
|기증기탁처=  
 
}}
 
}}
</pre>
+
 
  
 
[[분류:틀]]
 
[[분류:틀]]
35번째 줄: 33번째 줄:
 
|image = 고종윤음.jpg
 
|image = 고종윤음.jpg
 
}}
 
}}
 
  
 
=='''개관'''==
 
=='''개관'''==

2017년 1월 31일 (화) 18:39 판

틀:한글고문서틀:기록물정보

개관

고종이 대소 관료와 서울과 지방의 백성들에게 내린 척사윤음으로 한문본과 언해본이 실려 있다. 천주교에 대한 척사로 발생한 사옥(邪獄)은 1801년 (순조 1) 신유사옥을 기화로 헌종대 기해사옥, 병오사옥 그리고 고종 대 병인사옥이 대표적이다. 그중 가장 큰 것은 병인사옥이었다. 1866년(고종 3)에 시작된 병인사옥은 다른 사옥과는 달리 6년 동안 지속되어 약 8,000명의 천주교인이 순교하였다. 병인양요신미양요 등 열강의 침입을 경험하면서, 흥선대원군은 서구 열강에 대한 국가적 위기의식과 정치적 반대세력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천주교인에 대한 박해를 지속하였다. 1881년 고종이 내린 윤음은 사실상 마지막 척사윤음이었다. 이 윤음의 내용은 천주교 교리를 반박하고, 백성들에게 천주교에 현혹되지 말라는 취지의 다른 윤음과는 성격이 다르다. 고종은 정조 이후로 천주교인을 여러 번 징계했으나, 소멸되지 않았다고 전제하였다. 이어 천주교인이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하고, 유학 사상을 실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순박한 풍속을 회복하고 사당(私黨)인 천주교인들을 소멸시키자는 것이었다.[1]

텍스트

고종이 대소 관료와 서울과 지방의 백성들에게 내린 척사윤음으로 한문본과 언해본이 실려 있다. 천주교에 대한 척사로 발생한 사옥(邪獄)은 1801년 (순조 1) 신유사옥을 기화로 헌종대 기해사옥, 병오사옥 그리고 고종 대 병인사옥이 대표적이다. 그중 가장 큰 것은 병인사옥이었다. 1866년(고종 3)에 시작된 병인사옥은 다른 사옥과는 달리 6년 동안 지속되어 약 8,000명의 천주교인이 순교하였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등 열강의 침입을 경험하면서, 흥선대원군은 서구 열강에 대한 국가적 위기의식과 정치적 반대세력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천주교인에 대한 박해를 지속하였다. 1881년 고종이 내린 윤음은 사실상 마지막 척사윤음이었다. 이 윤음의 내용은 천주교 교리를 반박하고, 백성들에게 천주교에 현혹되지 말라는 취지의 다른 윤음과는 성격이 다르다. 고종은 정조 이후로 천주교인을 여러 번 징계했으나, 소멸되지 않았다고 전제하였다. 이어 천주교인이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하고, 유학 사상을 실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순박한 풍속을 회복하고 사당(私黨)인 천주교인들을 소멸시키자는 것이었다.

시각자료

클래스

  • 유물


지도


출처

  1. [고종윤음 [高宗綸音]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전시 기념책)]


관련 항목

1차 노드까지, 표

공간정보

경위도 좌표, 표

시간정보

1881년(고종18)

참고문헌

주석

도록 기본값 전시 디스크립션 검색결과로 나오는 원문 및 번역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