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이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갤러리)
25번째 줄: 25번째 줄: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935&cid=40942&categoryId=33058 이수]",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935&cid=40942&categoryId=33058 이수]",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갤러리'''==
+
=='''지식관계망'''==
 +
"그래프 삽입"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탑비]] || [[귀부]]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탑비]] || [[이수]]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탑비]] || [[제액]]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탑비의 이수'>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탑비의 이수'>
 
파일:BHST_Borimsa_Bojo_stele-is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파일:BHST_Borimsa_Bojo_stele-is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2017년 8월 27일 (일) 16:04 판

틀:개념정보상세

정의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내용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1]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2]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탑비 귀부 A는 B를 포함한다
탑비 이수 A는 B를 포함한다
탑비 제액 A는 B를 포함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