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자성편 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어제자성편언해==
+
{{한글고문서
*메타데이터
+
|대표명칭  =어제자성편언해
**자료명(대표):  어제자성편언해
+
|한자명    =御製自省編諺解
**자료명(한자):  御製自省編諺解
+
|로마자표기=Eoje jaseongpyeon eonhae
**로마자표기:  Eoje jaseongpyeon eonhae
+
|영문의역 =King Yeongjo's compliation of selected passages from the classics and his own advice to the crown prince
**영문의역:  King Yeongjo's compliation of selected passages from the classics and his own advice to the crown prince
+
|작자     =영조(英祖)
**인물정보:  작자 영조(英祖)
+
|간행년    =1746년(영조22)
**시간정보:  1746년 영조22
+
|작성년    =1746년(영조22)
**시대구분:  조선후기
+
|세로크기  =37.6cm
**공간정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서울대학교?), 간행처: ?
+
|가로크기  =24.2cm
**형태사항:  크기: 세로x가로 37.6x24.2, 판본: 핗사본, 수량: 2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
|판본     =필사본
 +
|수량     =2책
 +
|표기문자 =한글, 한자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4-4106
 +
|간행처    =
 +
|기증기탁처=
 +
}}
 +
 
  
 
==텍스트==
 
==텍스트==
15번째 줄: 23번째 줄:
 
책의 체재는 「수서(首序)」, 「내편(內篇)」, 「외편(外篇)」, 「소지(小識)」, 「고교제신함명(古敎諸臣啣名)」 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서」 와 「후발」에는 1746년 2월 17일에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내편」은 심신(心身)을 위주로 한 내용이고, 「외편」은 감계(監戒)를 위주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책의 체재는 「수서(首序)」, 「내편(內篇)」, 「외편(外篇)」, 「소지(小識)」, 「고교제신함명(古敎諸臣啣名)」 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서」 와 「후발」에는 1746년 2월 17일에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내편」은 심신(心身)을 위주로 한 내용이고, 「외편」은 감계(監戒)를 위주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영조는 「수서」에서 이 책이 평소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지난 일을 생각하며 감흥이 있는 것[追慕而興感], 생각하여 하나라도 얻은 것[思慮而一得], 잘못했다가 문득 깨달은 것[過差而旋悟], 역사 기록을 보다가 반성한 것[看史而反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영조는 「수서」에서 이 책이 평소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지난 일을 생각하며 감흥이 있는 것[追慕而興感], 생각하여 하나라도 얻은 것[思慮而一得], 잘못했다가 문득 깨달은 것[過差而旋悟], 역사 기록을 보다가 반성한 것[看史而反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세자에게 보여 감계하려는 의도에서 저술했음을 밝히며, 영조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신념과 사업이 세자에 의해 계승되기를 기대하였다.
+
또한 세자에게 보여 감계하려는 의도에서 저술했음을 밝히며, 영조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신념과 사업이 세자에 의해 계승되기를 기대하였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0쪽.</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24번째 줄: 32번째 줄:
 
파일:어제자성편언해_04.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idx=64] 한글전시도록
 
파일:어제자성편언해_04.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idx=64] 한글전시도록
 
</gallery>
 
</gallery>
 +
 
==관련 항목==
 
==관련 항목==
1차 노드까지, 표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
|{{PAGENAME}} ||인물||영조
 +
|-
 +
|{{PAGENAME}} ||인물||정조
 +
|-
 +
|{{PAGENAME}} ||문헌||저성편(自省編)
 +
|}
  
 
==공간정보==
 
==공간정보==
40번째 줄: 57번째 줄:
  
 
==주석==
 
==주석==
도록 기본값
+
<references/>
전시 디스크립션
 
검색결과로 나오는 원문 및 번역문
 
 
 
  
  
 
[[분류:한글고문헌]]
 
[[분류:한글고문헌]]
 +
[[분류:장원석]]
 +
[[분류:인문정보편찬연구]]
 +
[[분류:스토리텔링]]

2017년 1월 31일 (화) 19:26 판

틀:한글고문서


텍스트

영조가 자신을 성찰하고 왕세자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역대 제왕의 사적 중 모범이 될 만한 내용을 간추려 편찬한 『자성편(自省編)』을 언해한 책이다. 한문본은 1746년 문정전(文政殿)에서 2권 2책으로 편집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본래 한문본과 함께 간행하려 했던 초본(草本)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체가 정연하고 흘림이 없으며, 편집이 잘 되어 있고 표지 장정이 호화롭다. 언해본의 언해자 및 필사자, 시기 등은 알 수 없다. 책의 체재는 「수서(首序)」, 「내편(內篇)」, 「외편(外篇)」, 「소지(小識)」, 「고교제신함명(古敎諸臣啣名)」 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서」 와 「후발」에는 1746년 2월 17일에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내편」은 심신(心身)을 위주로 한 내용이고, 「외편」은 감계(監戒)를 위주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영조는 「수서」에서 이 책이 평소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지난 일을 생각하며 감흥이 있는 것[追慕而興感], 생각하여 하나라도 얻은 것[思慮而一得], 잘못했다가 문득 깨달은 것[過差而旋悟], 역사 기록을 보다가 반성한 것[看史而反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세자에게 보여 감계하려는 의도에서 저술했음을 밝히며, 영조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신념과 사업이 세자에 의해 계승되기를 기대하였다. [1]

시각자료

관련 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어제자성편 언해 인물 영조
어제자성편 언해 인물 정조
어제자성편 언해 문헌 저성편(自省編)

공간정보

이 문서 소장위치 경도좌표 위도좌표
삼강행실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2238 127.054309

시간정보

1746년(영조22)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