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Back.png|right|thumb|[[민족기록화]]]]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
+
{{민족기록화_샘플
 +
|사진= 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
 +
|작품명= 정약용과 저술
 +
|작가= [[정창섭]]
 +
|제작연도= 1979년
 +
|규격= 300호(290.9x197cm)
 +
|유형= 학술
 +
|분류= 유화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필드수=7
 +
}}
  
==작품==
+
=='''개요'''==
다산에 유배된 정약용이 제자들을 동원하여 그의 저서를 편집하고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
+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전남 강진에 유배된 다산 정약용이 10년간 머물며 제자들과 함께 저서를 편집한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그렸다.
 +
다산초당은 강진 귤동마을에 살던 윤단(尹慱)의 산정이었으나 다산에게 초당을 내어주고 자신의 아들 윤문거를 비롯한 삼형제에게 학문을 가르치도록 하였다. 이곳에서 다산은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치며 학문을 닦고 저술활동을 하였다.<br/>
  
*작가: 정창섭
+
=='''내용'''==
*제작: 1979
+
다산이 생활했던 초당은 1936년에 완전히 해체돼 폐허가 되었으나, 1957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출범하면서 해남 윤씨와 강진 관내 유지들의 성금으로 지금의 중심 건물이 복원되었다.
*분류: 유화
+
초당뒤 석벽에 다산이 직접 새긴 글씨인 정석(丁石), 뒷담 밑에 마르지 않는 샘물인 약천(藥泉), 약천의 샘물로 앞 뜰에서 차를 달이던 바위인 다조(茶竈), 초당 동쪽 연못에 탐진강에서 가져온 돌로 가산을 쌓은 연지가석산(蓮池石假山)을 일컬어 다산사경(茶山四景)이라 한다.<ref>[http://www.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666 강진일보 2015년 7월 9일자]</ref>
*규격: 290.9x197cm(300호)
+
그림의 오른쪽으로 연지석가산이 보이고, 다산초당 앞에는 차를 달이던 바위가 있다.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
 
정창섭(丁昌燮): 1927~2011. 서양화가. 청주 출생. 서울대 회화과 졸업. 1950년대 후반 앵포르멜(informel 非定形) 추상화 실험. 단순한 형태와 색조의 모노크롬(monochrome) 추상화 선도. 1970년대부터 닥종이로 민족 전통 표출. 국전 특선(1955), 초대작가, 심사위원, 운영위원, 서울대 미대 교수 역임.
 
  
==관련 항목==
+
=='''관련 민족기록화'''==
 +
정창섭 화가가 그린 작품
 +
<gallery>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정창섭-인천항도크]]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gallery>
 +
 
 +
=='''추출정보'''==
 +
===작품정보 연결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graph/w10/w10Tre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graph/w10/w10Tre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정창섭]]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PAGENAME}}||제작연도|| 1979년
 +
|}
 +
 +
=='''참고문헌'''==
 +
*정민,「삶을 바꾼 만남(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년.
 +
 +
=='''주석'''==
 +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학술]][[분류:조선]]

2017년 2월 1일 (수) 00:17 판


정약용과 저술
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학술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요

전남 강진에 유배된 다산 정약용이 10년간 머물며 제자들과 함께 저서를 편집한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그렸다. 다산초당은 강진 귤동마을에 살던 윤단(尹慱)의 산정이었으나 다산에게 초당을 내어주고 자신의 아들 윤문거를 비롯한 삼형제에게 학문을 가르치도록 하였다. 이곳에서 다산은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치며 학문을 닦고 저술활동을 하였다.

내용

다산이 생활했던 초당은 1936년에 완전히 해체돼 폐허가 되었으나, 1957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출범하면서 해남 윤씨와 강진 관내 유지들의 성금으로 지금의 중심 건물이 복원되었다. 초당뒤 석벽에 다산이 직접 새긴 글씨인 정석(丁石), 뒷담 밑에 마르지 않는 샘물인 약천(藥泉), 약천의 샘물로 앞 뜰에서 차를 달이던 바위인 다조(茶竈), 초당 동쪽 연못에 탐진강에서 가져온 돌로 가산을 쌓은 연지가석산(蓮池石假山)을 일컬어 다산사경(茶山四景)이라 한다.[1] 그림의 오른쪽으로 연지석가산이 보이고, 다산초당 앞에는 차를 달이던 바위가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정창섭 화가가 그린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에 의해 그려지다 정창섭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제작연도 1979년

참고문헌

  • 정민,「삶을 바꾼 만남(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년.

주석

  1. 강진일보 2015년 7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