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왕세자의 편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
 
}}
  
 +
=='''정의'''==
 +
[[왕]]가 평상시에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정의==
+
=='''내용'''==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
===복식구성===
 
+
* [[갓 | 갓[笠]]], [[철릭 | 철릭[天益, 天翼, 帖裏]]], [[광다회 | 광다회(廣多繪)]], [[]]<ref>[[상방정례]]</ref>
==복식구성==
 
* [[갓 | 갓[笠]]], [[철릭 | 철릭[天益, 天翼, 帖裏]]], [[광다회 | 광다회(廣多繪)]], [[목화]]<ref>[[상방정례]]</ref>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남성)|혜]]<ref>[[정미가례시일기]]</ref>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남성)|혜]]<ref>[[정미가례시일기]]</ref>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남성)|혜]]<ref>[[정미가례시일기]]</ref>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남성)|혜]]<ref>[[정미가례시일기]]</ref>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왕세자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철릭]]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광다회]]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화]]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도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왕세자의 편복 ||  [[혜(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시간정보===
  
==참고문헌==
+
===공간정보===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더 읽을거리===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9월 23일 (토) 21:10 판


왕세자의 편복
(王世子의 便服)
대표명칭 왕세자의 편복
한자표기 王世子의 便服
분류 편복
착용신분 왕세자
착용성별 남성



정의

가 평상시에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내용

복식구성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왕세자의 편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철릭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광다회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도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세조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혜(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상방정례
  2. 정미가례시일기
  3. 정미가례시일기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