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홍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형태)
18번째 줄: 18번째 줄:
 
===착용 상황===
 
===착용 상황===
 
===형태===
 
===형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왕의 행렬이 있을 때 동원된 의장군들의 옷으로 추정되는 홍의(紅衣) 17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 홍의의 형태는 직령 깃에 소매가 좁으며, 길과 화장이 비교적 짧고, 무가 없이 진동선 아래로 옆이 트여 있다. 옷감은 거친 무명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85쪽.</ref>
+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왕의 행렬이 있을 때 동원된 의장군들의 옷으로 추정되는 홍의(紅衣) 17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 홍의의 형태는 [[소창의]]와 유사한 형태로 직령 깃에 소매가 좁으며, 길과 화장이 비교적 짧고, 무가 없이 진동선 아래로 옆이 트여 있다. 옷감은 거친 무명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85쪽.</ref>
  
 
===기타===
 
===기타===

2017년 7월 23일 (일) 23:45 판


홍의
(紅衣)
대표명칭 홍의
한자표기 紅衣
구분 의복
착용성별 남성



정의

내용

복식 구성

착용 신분

착용 상황

형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왕의 행렬이 있을 때 동원된 의장군들의 옷으로 추정되는 홍의(紅衣) 17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 홍의의 형태는 소창의와 유사한 형태로 직령 깃에 소매가 좁으며, 길과 화장이 비교적 짧고, 무가 없이 진동선 아래로 옆이 트여 있다. 옷감은 거친 무명이다.[1]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1.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朝鮮時代 宮中服飾』,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1, 8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