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http://metarch.cafe24.com/metarki/index.php/고산구곡가 고산구곡가 페이지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http://metarch.cafe24.com/metarki/index.php/고산구곡가 고산구곡가 페이지 링크]'''
+
{{문헌정보2
 +
|이미지= 한글팀_고산구곡가_한역_01.jpg
 +
|대표명칭= 고산구곡가
 +
|한자명칭= 高山九曲歌
 +
|로마자명칭=
 +
|영문명칭=
 +
|작자= 이이
 +
|작성시기= 1578
 +
|역자= 송시열
 +
|편자=
 +
|간행시기=
 +
|간행처=
 +
|간행지=
 +
|간행인=
 +
|저작권자=
 +
|기탁처=
 +
|소장처=
 +
|청구기호=
 +
|문화재지정사항=
 +
|문화재지정일= yyyy.mm.dd.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yyyy.mm.dd."를 삭제할 것)
 +
|유형=
 +
|크기(세로×가로)= ×㎝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를 삭제할 것)
 +
|판본= 목판본/금속활자본/필사본 등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목판본/금속활자본/필사본 등"을 삭제할 것)
 +
|판사항= 초판/개정판/3판 등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초판/개정판/3판 등"을 삭제할 것)
 +
|형태사항= xii, 884 p. : 삽도, 지도, 도표 ; 24 cm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xii, 884 p. : 삽도, 지도, 도표 ; 24 cm"를 삭제할 것)
 +
|수량= 책/권/장/첩 등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책/권/장/첩 등"을 삭제할 것)
 +
|표기문자=
 +
|해석문= 기사명 (해석)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기사명 (해석)"을 삭제할 것)
 +
|해석문1= 번역문이 여러개일 때 사용
 +
|해석문2= 번역문이 여러개일 때 사용
 +
|해석문3= 번역문이 여러개일 때 사용
 +
|기획기사=
 +
|원문기사= 기사명  (별도 입력값이 없을 경우, "기사명"을 삭제할 것)
 +
|필드수=
 +
}}
 +
 
 +
==작품소개==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1129 주자(朱子)]의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8874&cid=41773&categoryId=41783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626 이황]의 [[도산십이곡|〈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네이버 지식백과 '고산구곡가']의 검색결과로 나온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8) 및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의 내용에서 발췌·편집.(2016/12/27)</ref>
 +
 
 +
==기록유산스토리자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98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ref>대표 이미지로 소개한 것은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 <고산구곡도> 항목에 소개된 한글본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에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f>
 +
 
 +
==대표 이미지==
 +
[[파일:고산구곡가_언문.png|700픽셀|고산구곡가 언문]] <br/> <br/>
 +
[[파일:고산구곡가_한역.JPG|700픽셀|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
 +
 
 +
==연계 항목==
 +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br/>
 +
{|class="wikitable"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
|고산구곡가 || 전시자료 ||
 +
|-
 +
|고산구곡가 || 보유 문화재 ||
 +
|-
 +
|고산구곡가 || 관련 인물 ||
 +
|-
 +
|고산구곡가 || 관련 공간 ||
 +
|}
 +
(* 임시 테스트본)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유형 || 건수 || width="80%"|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
|-
 +
|전시자료 || 1 || * [[Is a model of::고산구곡도]] 
 +
|}
 +
 
 +
==갤러리==
 +
<gallery>
 +
파일:고산구곡가_언문.png | 고산구곡가 언문
 +
파일:고산구곡가_한역.JPG |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
 +
</gallery>
 +
 
 +
==참조==
 +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헌]]
 +
[[분류:작품]]
 +
[[분류:조선]]

2017년 3월 24일 (금) 21:57 판

틀:문헌정보2

작품소개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1]

기록유산스토리자원

대표 이미지

고산구곡가 언문

송시열의 고산구곡가 한문번역시(율곡전서)

연계 항목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고산구곡가 전시자료
고산구곡가 보유 문화재
고산구곡가 관련 인물
고산구곡가 관련 공간

(* 임시 테스트본)

유형 건수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전시자료 1 * Is a model of::고산구곡도

갤러리

참조

  1. 네이버 지식백과 '고산구곡가'의 검색결과로 나온 이응백·김원경·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한국사전연구사, 1998) 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의 내용에서 발췌·편집.(2016/12/27)
  2. 대표 이미지로 소개한 것은 2016년 장서각 한글특별전 도록 <고산구곡도> 항목에 소개된 한글본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가'에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