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파 문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 한글고문서_개념기사]]
+
{{물품유물
 +
|대표명칭= 파스파 문자
 +
|사진=
 +
|사진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자명칭= 八思巴文字(팔사파문자)
 +
|로마자명칭=
 +
|영문명칭= 'Phags-pa characters
 +
|사용시기= 조선
 +
|제작시기= 조선
 +
|제작자=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금천로 671
 +
|소장자=
 +
|소장처=
 +
|성격= 복식, 신발
 +
|문화재지정번호=
 +
|문화재지정일=
 +
|관련인물=
 +
|관련사건=
 +
|기획기사=
 +
|기획기사2=
 +
|기획기사3=
 +
|기획기사4=
 +
|기획기사5=
 +
|중심기사= 호산춘주 제조법
 +
|중심기사2=
 +
|중심기사3=
 +
|중심기사4=
 +
|중심기사5=
 +
|중심기사6=
 +
|중심기사7=
 +
|중심기사8=
 +
|중심기사9=
 +
|중심기사10=
 +
}}
 +
 
 +
=='''정의'''==
 +
파스파[八思巴]가 원(元)나라 세조(世祖) 쿠빌라이의 명을 받아 만든 몽골어용[蒙古語用] 문자.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6904&cid=40942&categoryId=32972  파스파문자 [八思巴文字(팔사파문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sup>online</sup></online></html>.</ref>
 +
 
 +
=='''내용'''==
 +
1265년 귀국할 때, 명을 받아 이 문자를 만들어 69년 쿠빌라이에게 바쳤다. 몽골어뿐 아니라 중국어 ·티베트어 ·산스크리트 ·튀르크어 등을 표기하는 데 쓰였는데, 원래는 몽골어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표음(表音)문자인 음절(音節)문자로 만들어졌다. 쿠빌라이는 같은 해 이 문자를 공용문자로 채택 ·공포하였으나, 빨리 쓰는 데 적합하지 않아, 그 후에는 보급되지 않았다. 티베트문자를 개정, 왼편부터 세로로 쓰게 된 네모진 문자로 자음 30자, 모음 8자, 기호 9개로 되어 있다. 한편 파스파의 백부(伯父) 사펜이 처음 고안한 것을 파스파가 개량한 것이라고 하며, 성종(成宗) ·무종(武宗) 시대에 초빙된 츄크 오세르가 다시 개량한 것이라고도 한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6904&cid=40942&categoryId=32972  파스파문자 [八思巴文字(팔사파문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지식 관계망'''==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훈민정음]]||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언문지]]||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원나라]]||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몽골어용 문자]]||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font color="green"><b>
 +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nowiki><html><online style="color:purple">『DB 또는 웹사이트 이름』<sup>online</sup></online></html></nowiki>, 기관명, 작성일 또는 최종확인날짜.<br/>
 +
</b></font>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9326&cid=42050&categoryId=42050  파스파 문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 세상의 모든 지식』<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7월 22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6904&cid=40942&categoryId=32972  파스파 문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7월 22일.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7월 23일 (일) 02:14 판

틀:물품유물

정의

파스파[八思巴]가 원(元)나라 세조(世祖) 쿠빌라이의 명을 받아 만든 몽골어용[蒙古語用] 문자. [1]

내용

1265년 귀국할 때, 명을 받아 이 문자를 만들어 69년 쿠빌라이에게 바쳤다. 몽골어뿐 아니라 중국어 ·티베트어 ·산스크리트 ·튀르크어 등을 표기하는 데 쓰였는데, 원래는 몽골어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표음(表音)문자인 음절(音節)문자로 만들어졌다. 쿠빌라이는 같은 해 이 문자를 공용문자로 채택 ·공포하였으나, 빨리 쓰는 데 적합하지 않아, 그 후에는 보급되지 않았다. 티베트문자를 개정, 왼편부터 세로로 쓰게 된 네모진 문자로 자음 30자, 모음 8자, 기호 9개로 되어 있다. 한편 파스파의 백부(伯父) 사펜이 처음 고안한 것을 파스파가 개량한 것이라고 하며, 성종(成宗) ·무종(武宗) 시대에 초빙된 츄크 오세르가 다시 개량한 것이라고도 한다. [2]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파스파 문자 훈민정음 A는 B와 관련이 있다
파스파 문자 언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파스파 문자 원나라 A는 B와 관련이 있다
파스파 문자 몽골어용 문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주석

  1. 파스파문자 [八思巴文字(팔사파문자),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online.
  2. 파스파문자 [八思巴文字(팔사파문자),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online.

참고문헌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B 또는 웹사이트 이름』<sup>online</sup></online></html>, 기관명, 작성일 또는 최종확인날짜.

  • "파스파 문자", 『네이버 지식백과, 세상의 모든 지식』online, 최종확인: 2017년 07월 22일.
  • "파스파 문자",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7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