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강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http://www.kistec.or.kr/webzine/97/news10.html
+
 
[[분류:민족기록화]]
+
{{장소정보
 +
|사진=민족기록화 장소 소양강댐 01.jpg
 +
|사진출처="[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38761&detl_PhotoDTL=293174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
 +
|대표명칭=소양강댐
 +
|한자표기=昭陽江─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댐
 +
|주소=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신샘밭로 1128
 +
|위도=37.945759
 +
|경도=127.814412
 +
|관련인물=
 +
|관련단체=[[소양강수력발전소]]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
 
 +
=='''정의'''==
 +
강원도 춘천시 동면 월곡리와 신북읍 천전리 사이의 북한강 지류인 소양강의 댐.<ref>한주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190 소양강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ref>
 +
 
 +
=='''내용'''==
 +
===다목적댐으로 건설===
 +
[[소양강]]의 물길을 가로막아 인공저수지로 용수조절능력 5억t, 농·공업용 용수공급능력 12억t, 시설용량 20만kW의 수력발전소를 가동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력댐]]이다. 댐 높이 123m. 제방길이 530m. 수면면적 70㎢. 총저수량 29억t. 시내 중심지에서 북동쪽으로 13km, 북한강 합류점에서 12km 떨어진 지점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222 소양강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1967년 4월에 착공하여 1973년 10월에 완공하였는데 1950년경부터 [[다목적댐]] 건설사업을 계획하였으며, 1960년 3월 타당성을 건의하였다. 총공사비는 318억 7000만 원이 소요되었으며, 수몰지역은 춘천시·양구군·인제군의 3개 시·군, 6개 면, 38개 리로 4,600세대가 이주하였으며, 약 2,700㏊의 논밭이 수몰되었다.<ref>한주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190 소양강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관광휴양지 역할===
 +
댐에 의하여 형성된 [[소양호]]는 댐에서 상류로 43.2㎞ 지점의 양구·인제까지 항행할 수 있는데, 유람선에 의한 소요시간은 1시간 20분이다. 호반 주변의 경관이 아름다워 국민정서의 함양과 국민 관광지 및 휴양지로 제공되고 있으며, 내수면 어업개발 등으로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ref>한주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190 소양강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소양강댐]] || [[소양강수력발전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소양강댐]] || [[소양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소양강댐]] || [[다목적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소양강댐]] || [[사력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소양강댐]] || [[현대건설]] ||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 A dcterms:constructor B
 +
|-
 +
| [[소양강댐]] || [[정주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01.jpg| 소양강댐 방류 광경(2006년 07월 19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PT&photo_PhotoID=38761&detl_PhotoDTL=293174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02.jpg| 소양강댐 건설공사(1971년 10월 30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2940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03.jpg| (1973년 10월 15일)<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8&detl_PhotoDTL=3229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정책방송원.</ref>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한주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190 소양강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5222 소양강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이찬호, "[http://news.joins.com/article/12834041 '한강의 기적' 숨은 공신, 소양강댐 40년]", 『중앙일보』, 2013년 10월 12일.
 +
#* http://www.kistec.or.kr/webzine/97/news10.htm
 +
 
 +
# 논문
 +
#* 이희승, 「소양강댐 40년사」, 『대댐회지』 제37권, 한국대댐회, 2013, 12-17쪽.
 +
#* 고양수, 「소양강댐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대댐회지』 제37권, 한국대댐회, 2013, 18-21쪽.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장소]]

2017년 9월 28일 (목) 01:26 판


소양강댐(昭陽江─)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e영상역사관』online, 한국정책방송원.
대표명칭 소양강댐
한자표기 昭陽江─
유형
주소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신샘밭로 1128
관련단체 소양강수력발전소


정의

강원도 춘천시 동면 월곡리와 신북읍 천전리 사이의 북한강 지류인 소양강의 댐.[1]

내용

다목적댐으로 건설

소양강의 물길을 가로막아 인공저수지로 용수조절능력 5억t, 농·공업용 용수공급능력 12억t, 시설용량 20만kW의 수력발전소를 가동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력댐이다. 댐 높이 123m. 제방길이 530m. 수면면적 70㎢. 총저수량 29억t. 시내 중심지에서 북동쪽으로 13km, 북한강 합류점에서 12km 떨어진 지점에 있다.[2] 1967년 4월에 착공하여 1973년 10월에 완공하였는데 1950년경부터 다목적댐 건설사업을 계획하였으며, 1960년 3월 타당성을 건의하였다. 총공사비는 318억 7000만 원이 소요되었으며, 수몰지역은 춘천시·양구군·인제군의 3개 시·군, 6개 면, 38개 리로 4,600세대가 이주하였으며, 약 2,700㏊의 논밭이 수몰되었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02.jpg| 소양강댐 건설공사(1971년 10월 30일)[3]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팔당댐 03.jpg| (1973년 10월 15일)[4] </gallery>

주석

  1. 한주성, "소양강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소양강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한국정책방송원.
  4.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한국정책방송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1. 논문
    • 이희승, 「소양강댐 40년사」, 『대댐회지』 제37권, 한국대댐회, 2013, 12-17쪽.
    • 고양수, 「소양강댐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대댐회지』 제37권, 한국대댐회, 2013, 18-2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