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그림 읽기)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poly 13 280 -4 310 56 326 65 314 66 297 81 288 103 284 116 290 121 305 113 310 119 314 113 324 98 330 171 337 178 342 183 371 199 400 214 419 266 486 301 511 306 520 352 490 352 484 338 479 334 479 293 456 279 446 248 428 225 400 168 308 116 302 122 295 [[박승환 유서]] | poly 13 280 -4 310 56 326 65 314 66 297 81 288 103 284 116 290 121 305 113 310 119 314 113 324 98 330 171 337 178 342 183 371 199 400 214 419 266 486 301 511 306 520 352 490 352 484 338 479 334 479 293 456 279 446 248 428 225 400 168 308 116 302 122 295 [[박승환 유서]] | ||
</imagemap> | </imagemap>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1.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5&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5&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2.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2.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3.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3.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 </gallery> | ||
2017년 6월 14일 (수) 04:14 판
박승환의 자결순국 | |
작가 | 박기태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해당 작품은 조선말기 순국지사 박승환이 권총으로 자결한 모습과, 그의 자결 순국에 분개한 한국군이 일본군을 공격하는 장면을 담은 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1907년 8월 1일 새벽, 일제는 대대장 이상의 장교를 일제 통감의 관저인 대관정(大觀亭)으로 집합시켰으나,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이었던 박승환은 병을 핑계로 고참 중대장인 김재흡을 대리 참석시켰다.
오전 10시에 부대로 돌아온 김재흡 중대장의 보고를 통해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 사실을 알게 된 박승환은 "군인은 국가를 위해 경비함이 직책이어늘 이제 외국이 침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홀연히 군대를 해산하니, 이는 황제의 뜻이 아니요 적신이 황명을 위조함이니 내 죽을지언정 명을 받을 수 없다" 라며 대성통곡한 뒤 대대장실에서 유서를 쓰고, "대한제국 만세!"를 외친 다음 차고있던 권총으로 자결 순국하였다.
작품 오른편에 두 명의 부하에게 부축받고 있는 대대장이 박승환으로, 그의 발치에는 그가 자결에 사용했던 권총이 그려져 있다.
작품 왼편 책상 위에는 유서가 그려져 있는데, 유서에는 "軍不能守國 臣不能盡忠 萬死無惜(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지 못하였으니, 만번 죽은들 무엇이 아깝겠는가)" 적혀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정미의병 발원 터로, 현재 서울 중구 서소문동 부영빌딩 화단 앞이다.
이곳에서 박승환의 자결에 분격한 제1연대 제1대대 장병들이 탄약고를 부수고 탄환을 꺼내어 무장 봉기하였고, 제1연대 제1대대 봉기 소식을 듣고 제2연대 제1대대도 이에 호응하여 봉기하였다. 장병들은 일본군과 총격전을 벌이며 전투에 들어갔는데, 작품 뒤쪽에 그려진 전투 장면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기태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박승환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박승환 유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국립현대미술관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A는 B를 대여하였다 | |
독립기념관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정미7조약 | 이완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907년 7월 24일 |
정미7조약 | 군대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907년 7월 31일-9월 3일 |
군대해산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박승환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907년 8월 1일 |
정미의병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박기태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를 제작하였다. |
1907년 7월 24일 | 이완용이 정미7조약을 체결하였다 |
1907년 7월 31일-9월 3일 | 정미7조약에 의해 군대해산이 시행되었다 |
1907년 8월 1일 | 군대해산이 박승환의 자결 순국과 관련이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930829 | 127.0005288 | 국립현대미술관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대여하였다 |
36.7861847 | 127.2242915 | 독립기념관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고 있다 |
37.33403 | 126.58275 | 정미의병 발원 터는 박승환의 자결 순국과 관련이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1919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1919년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