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노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복식구성)
11번째 줄: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조선시대 왕실 여성과 정4품 이상의 정실부인[정처(正妻)]의 [[친영]] 등이 이루어질 때 실외에서 입는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32쪽.</ref>
+
조선시대 왕실 여성과 정4품 이상의 정실부인[정처(正妻)]의 [[친영]] 등이 이루어질 때 실외에서 입는 옷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32쪽.</ref>
  
==복식구성==
+
=='''내용'''==
 +
===복식구성===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노의 02.jpg| 노의 일러스트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노의 02.jpg| 노의 일러스트
 
</gallery>
 
</gallery>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신분===
* 왕실여성([[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공주, 옹주, 대군부인, 군부인 등)
+
왕실여성([[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공주, 옹주, 대군부인, 군부인 등)이 착용 하였다. 또한 정4품 이상 정처(정실부인)가 착용 하였다.
* 정4품 이상 정처[정실부인]
 
  
 
===착용상황===
 
===착용상황===
* 왕실: [[혼례]]시 [[친영]] 의례 등이 이루어질 때 착용함.
+
왕실에서는 [[혼례]]시 [[친영]] 의례 등이 이루어질 때 착용 하였다. 또한 정4품 이상 정처(정실부인)이 길을 갈 때 착용 하였다.  
* 정4품 이상 정처: 길을 갈 때 착용함.
 
  
 
===형태===
 
===형태===
*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전단후장(前短後長)).  
+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길다(전단후장(前短後長). 양옆이 트여 있고, 옆선과 도련이 [[당의]]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넓은 소매 끝에는 색동과 태수[한삼]이 달려 있으며, 깃은 원삼과 같은 대금형의 둥근 깃이다. 몸판 전체에 금원문(金圓紋)이 부금되어 있다.
* 양옆이 트여 있음.
 
* 옆선과 도련이 [[당의]]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음.
 
* 넓은 소매 끝에는 색동과 태수[한삼]이 달려 있음.
 
* 깃은 원삼과 같은 대금형의 둥근 .
 
* 몸판 전체에 금원문(金圓紋)이 부금되어 있음.
 
  
 
===기타===
 
===기타===
*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에 왕비의 노의와 [[금원문]]의 형태가 그려져 있고 청연군주의 금원문이 찍혀있는 노의 유물이 출토되어 그 형태와 옷의 문양을 파악할 수 있음.
+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에 왕비의 노의와 [[금원문]]의 형태가 그려져 있고, 청연군주의 금원문이 찍혀있는 노의 유물이 출토되어 그 형태와 옷의 문양을 파악할 수 있다. 역대 『가례도감의궤』에 따르면 왕비는 흉배금원문노의(胸背金圓紋露衣), 왕세자빈은 금원문노의(金圓紋露衣)라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노의에 금으로 된 원무늬가 들어감을 알 수 있고, 왕비 노의에는 흉배가 달리는 것을 알 수 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또한 『계사시월가례시의복발긔』에 군부인의 '다홍별문단부금원앙노의'라는 기록에는 청연군주 노의에 찍혀 있는 금원문이 원앙임을 알 수 있으며, 왕실 여성 노의의 색은 모두 홍색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역대 『가례도감의궤』에 따르면 왕비는 흉배금원문노의(胸背金圓紋露衣), 왕세자빈은 금원문노의(金圓紋露衣)라 기록되어 있어 노의에 금으로 된 원무늬가 들어감을 알 수 있고 왕비 노의에는 흉배가 달리는 것을 알 수 있음.<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f>
 
*『계사시월가례시의복발긔』에 군부인의 '다홍별문단부금원앙노의'라는 기록을 토대로 청연군주 노의에 찍혀 있는 금원문이 원앙임을 알 수 있음.
 
* 왕실 여성 노의의 색은 모두 홍색.
 
  
==관련항목==
+
=='''관련항목'''==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5월 19일 (금) 00:47 판


노의(露衣)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노의(露衣)
이칭별칭 -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시대 왕실 여성과 정4품 이상의 정실부인[정처(正妻)]의 친영 등이 이루어질 때 실외에서 입는 옷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실여성(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공주, 옹주, 대군부인, 군부인 등)이 착용 하였다. 또한 정4품 이상 정처(정실부인)가 착용 하였다.

착용상황

왕실에서는 혼례친영 의례 등이 이루어질 때 착용 하였다. 또한 정4품 이상 정처(정실부인)이 길을 갈 때 착용 하였다.

형태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은 길다(전단후장(前短後長). 양옆이 트여 있고, 옆선과 도련이 당의와 유사한 형태의 곡선을 그리고 있다. 넓은 소매 끝에는 색동과 태수[한삼]이 달려 있으며, 깃은 원삼과 같은 대금형의 둥근 깃이다. 몸판 전체에 금원문(金圓紋)이 부금되어 있다.

기타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에 왕비의 노의와 금원문의 형태가 그려져 있고, 청연군주의 금원문이 찍혀있는 노의 유물이 출토되어 그 형태와 옷의 문양을 파악할 수 있다. 역대 『가례도감의궤』에 따르면 왕비는 흉배금원문노의(胸背金圓紋露衣), 왕세자빈은 금원문노의(金圓紋露衣)라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노의에 금으로 된 원무늬가 들어감을 알 수 있고, 왕비 노의에는 흉배가 달리는 것을 알 수 있다.[2] 또한 『계사시월가례시의복발긔』에 군부인의 '다홍별문단부금원앙노의'라는 기록에는 청연군주 노의에 찍혀 있는 금원문이 원앙임을 알 수 있으며, 왕실 여성 노의의 색은 모두 홍색임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32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1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