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명)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
 +
=='''정의'''==
 +
안중근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역에서 러시아 의장대 뒤에서 뛰어 나오며 권총 3발을 쏘아 이등박문(伊藤博文 이토 히로부미)에게 명중시키는 장면.
  
 
=='''설명'''==
 
=='''설명'''==
1909년 10월 20일 만주 [[하얼빈]]역에서 이등박문(伊藤博文 이토 히로부미)을 총살하는 [[안중근]] 의사를 그린 기록화이다. [[안중근]](安重根)은 [[을사보호 조약]]이 체결되자 강원도 의병에 참가하고  
+
===작품 소재===
블라디보스토크 등지로 망명 전전하였다. 1909년 노브키예프스키에서 김기룡(金起龍)・황병길(黃丙吉) 등 12명과 [[단지회]](斷脂會)를 조직하여 [[이등박문]](伊藤博文)과 [[이완용]]을 암살할 것을 맹세하였다. 같은 해 10월 26일 만주에 도착, 9시 30분경 이등박문(伊藤博文)이 환영인파 쪽으로 향할 때 안중근이 권총을 3발 발사하여 명중되었다. 이등박문(伊藤博文)은 오전 10시경 죽었고 안중근은 체포되어 여순감옥에 투옥되어 1910년 3월 순국하였다.<ref>"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기록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http://search.i815.or.kr/subCollection.do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html><sup>online</sup></online></html>, 독립기념관. 최종확인: 2017년 03월 07일.</ref>
+
[[안중근]](安重根)은 [[을사보호 조약]]이 체결되자 강원도 의병에 참가하고 북간도로 망명하여 노브키에프스크·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토크 등지로 전전하였다. 1909년 노브키예프스키에서 김기룡(金起龍)・황병길(黃丙吉) 등 12명과 [[단지회]](斷脂會)를 조직하여 [[이등박문]](伊藤博文)과 [[이완용]]을 암살할 것을 맹세하였다. 같은 해 10월 26일 만주에 도착, 9시 30분경 이등박문(伊藤博文)이 환영인파 쪽으로 향할 때 안중근이 권총을 3발 발사하여 명중되었다. 이등박문(伊藤博文)은 오전 10시경 죽었고 안중근은 체포되어 여순감옥에 투옥되어 1910년 3월 순국하였다.<ref>"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기록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http://search.i815.or.kr/subCollection.do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html><sup>online</sup></online></html>, 독립기념관. 최종확인: 2017년 03월 07일.</ref>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800px|center]]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br/>
+
<imagemap>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 박영선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1976|800px|center
 +
poly 126 93 104 120 111 139 100 157 83 192 84 259 75 288 84 333 75 438 97 434 110 434 127 434 148 436 188 442 183 428 177 360 188 277 217 255 209 223 268 153 250 118 145 92 137 90 [[안중근]]
 +
poly 560 106 519 136 483 174 465 228 428 268 425 314 430 348 425 408 424 450 487 464 515 449 532 406 537 347 557 293 577 224 604 177 609 138 604 99 [[이토 히로부미]]
 +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계몽 항일 주제로 한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항일 소재 작품"  heights=150px  style="float:left" >
<gallery>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1919년 3월 1일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gallery>
 
</gallery>
 +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관련항목===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박영선]]
+
|[[박영선]]  || {{PAGENAME}} || A은 B를 그렸다 || 1976년
|}
+
|-
 
+
|{{PAGENAME}}  ||[[이등박문 사살]]||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1909년 10월 26일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제작연도|| 1976년
+
|{{PAGENAME}} ||[[안중근]]||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현대미술관]]||소장처|| 1979년
+
|{{PAGENAME}}  ||[[이등박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중앙공무원교육원]]||소장처 (임대)|| 1991년
+
|{{PAGENAME}}  ||[[하얼빈역]]|| A는 B을 배경으로 한다 ||  
 
|-
 
|-
|[[독립기념관]]||소장처|| 2017년
+
|{{PAGENAME}}  ||[[독립기념관]]||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
 
|}
 
|}
  
===공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3745 || 127.223215
+
|1976년 || [[박영선]]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1998년- || [[독립기념관]]이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783745 || 127.223215|| [[독립기념관]]이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
|45.765240 || 126.634847||  {{PAGENAME}}은 [[하얼빈역]]을 배경으로 한다.
 +
|}
  
 
=='''그래프'''==
 
=='''그래프'''==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이등박문을총살하는안중근.htm 임시]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이등박문을총살하는안중근.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안중근의사.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참고문헌'''==
 
=='''참고문헌'''==
 
+
=='''참고문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26 안중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30일.
  
 
=='''주석'''==
 
=='''주석'''==

2017년 5월 5일 (금) 15:53 판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 의사
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
작가 박영선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안중근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역에서 러시아 의장대 뒤에서 뛰어 나오며 권총 3발을 쏘아 이등박문(伊藤博文 이토 히로부미)에게 명중시키는 장면.

설명

작품 소재

안중근(安重根)은 을사보호 조약이 체결되자 강원도 의병에 참가하고 북간도로 망명하여 노브키에프스크·하바로프스크·블라디보스토크 등지로 전전하였다. 1909년 노브키예프스키에서 김기룡(金起龍)・황병길(黃丙吉) 등 12명과 단지회(斷脂會)를 조직하여 이등박문(伊藤博文)과 이완용을 암살할 것을 맹세하였다. 같은 해 10월 26일 만주에 도착, 9시 30분경 이등박문(伊藤博文)이 환영인파 쪽으로 향할 때 안중근이 권총을 3발 발사하여 명중되었다. 이등박문(伊藤博文)은 오전 10시경 죽었고 안중근은 체포되어 여순감옥에 투옥되어 1910년 3월 순국하였다.[1]

시각적 안내

안중근이토 히로부미박영선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영선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A은 B를 그렸다 1976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이등박문 사살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1909년 10월 26일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안중근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이등박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하얼빈역 A는 B을 배경으로 한다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독립기념관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영선이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를 제작하였다.
1998년- 독립기념관이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를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3745 127.223215 독립기념관이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를 소장하고 있다.
45.765240 126.634847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은 하얼빈역을 배경으로 한다.

그래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안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30일.

주석

  1.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기록화",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online, 독립기념관. 최종확인: 2017년 03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