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적 안내)
40번째 줄: 40번째 줄:
 
<imagemap>
 
<imagemap>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800px|center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800px|center
rect 226 96 270 225 [[이성계]]
+
poly 306 195 293 214 293 225 297 226 297 241 298 256 307 266 317 282 331 290 329 266 313 238 321 230 310 213 315 198 315 198 [[영규]]
rect 517 142 564 292 [[이오로첩목아]]
+
poly 448 138 437 148 441 154 433 186 449 196 445 216 423 222 445 245 455 230 469 242 477 252 487 238 473 210 461 202 487 209 489 197 481 186 473 181 481 172 483 150 469 162 461 174 453 174 451 156 457 150 455 146 [[조헌]]  
poly 535 95 604 89 604 75 626 68 654 74 657 84 715 68 715 58 751 44 755 13 697 1 792 6 791 116 761 106 733 79 720 121 694 121 689 108 681 130 622 138 580 133 550 124 543 118 541 115 [[오녀산성]]  
 
 
</imagemap>
 
</imagemap>
  

2017년 4월 11일 (화) 21:41 판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당시 조헌(趙憲)과 승장 영규(靈圭)는 전라도로 향하는 왜군을 막기 위해 금산(錦山)으로 향했으나, 전공을 시기하는 관군의 방해로 의병이 대부분 해산되고, 700명의 의병과 800명의 승병으로 2차 금산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의병들과 함께 모두 전사하였다.
해당 작품은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趙憲)과 승장 영규(靈圭)의 전투장면을 그린 기록화로,[1] 2차 금산전투의 장면을 담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안되어 화살이 다하고 날도 저물어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 휘하의 군사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고 한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2]

하고 끝까지 싸움을 지휘하였고, 그 휘하의 군사들도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모두 그와 함께 전사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 그려져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영규로, 작품에서는 영규승병은 보이지 않는다.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영규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8월 18일 새벽으로, 동이 트고 있는 하늘을 붉게 칠하여 새벽임을 표현하였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3]

시각적 안내

영규조헌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1975년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이성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동녕부정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이오로첩목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오녀산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전쟁기념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국회사무처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이성계 동녕부정벌 A는 B를 지휘하였다
이성계 오녀산성 A는 B를 공격하였다 1370년 1월
이성계 공민왕 A는 B의 신하이다
이성계 이오로첩목아 A는 B와 대립하였다 1370년 1월
오녀산성 동녕부 A는 B에 있었다
동녕부 쌍성총관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동녕부 탐라총관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오로첩목아 오녀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태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370년 1월 이성계오녀산성을 공격하였다.
1370년 1월 이성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대립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이 국회사무처에 대여되었다.
37.532103 126.914133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래프

참고문헌

  • "동녕부정벌,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두산백과. 2017년 04월 04일 확인
  • "환인오녀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주석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에 의해 그려지다 정창섭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에 소장되어 있다 전쟁기념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배경으로 한다 금산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소재로 삼다 조헌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소재로 삼다 영규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을 소재로 삼다 금산전투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제작연도 1976년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감사원 대여기간 1991.10.20 ~ 1992.10.19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전쟁기념관 이전 연도 1998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소장처 감사원 37.587238 126.984968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소장처 전쟁기념관 37.5369559 126.9749353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4일 확인)
  2.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
  3.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