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창운 초상(단령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단령본).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창운 초상(단...)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단령본).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단령본).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http://office.kbs.co.kr/mylovekbs/archives/239352 TV쇼 진품명품 (1TV, 4월 10일)]", 보도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KBS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미술정보개발원, 작성일: 2016년 04월 08일.
 
|대표명칭= 이창운 초상(단령본)
 
|대표명칭= 이창운 초상(단령본)
 
|한자명칭= 李昌運 肖像
 
|한자명칭= 李昌運 肖像
19번째 줄: 19번째 줄:
 
=='''내용'''==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창운]]의 초상화는 현재 관복본과 [[이창운 초상(군복본)|군복본]]이 함께 전하는 유일한 예이다. 이 중 관복본 초상화로 그림 우측 상단의 표제에 "함춘군이성유칠십세진(咸春君李聖猷七十歲眞)"이라고 쓰여 있어 1782년에 그려진 상임을 알 수 있다. 그 옆으로는 [[대사헌]]을 지낸 [[엄린]]이 짓고 [[강세황]]이 쓴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찬시]]가 쓰여 있다.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찬시]]에서는 무신이었으나 그 성품은 온화하면서도 강건했고 집안에서는 효를 나라에는 충성을 다했음을 읊고 있다. 초상화에는 그러한 유하면서도 강한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br/>
+
[[이창운]]의 초상화는 현재 관복본과 [[이창운 초상(군복본)|군복본]]이 함께 전하는 유일한 예이다. 이 중 관복본 초상화로 그림 우측 상단의 표제에 "함춘군이성유칠십세진(咸春君李聖猷七十歲眞)"이라고 쓰여 있어 1782년에 그려진 상임을 알 수 있다. 그 옆으로는 [[대사헌]]을 지낸 [[엄린]]이 짓고 [[강세황]]이 쓴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찬시]]가 쓰여 있다.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찬시]]에서는 무신이었으나 그 성품은 온화하면서도 강건했고 집안에서는 효를 나라에는 충성을 다했음을 읊고 있다. 초상화에는 그러한 유하면서도 강한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ref>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ref><br/>
<이창운 초상>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한다. <이창운 초상> 관복본은 조선 후기 관복 전신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상으로 얼굴 피부의 자연스런 발색, 입체감 표현이 돋보이는 상이다. 의복 표현 역시 화려한 색으로 세밀하게 그린 [[흉배]], 풍성하게 입체감을 드러낸 [[관복]], 세필로 묘사한 표피의 표현 등으로 사실적인 묘사에 주력하였다.
+
<이창운 초상>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한다.<ref>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99쪽.</ref> <이창운 초상> 관복본은 조선 후기 관복 전신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상으로 얼굴 피부의 자연스런 발색, 입체감 표현이 돋보이는 상이다. 의복 표현 역시 화려한 색으로 세밀하게 그린 [[흉배]], 풍성하게 입체감을 드러낸 [[백관의 상복|관복]], 세필로 묘사한 표피의 표현 등으로 사실적인 묘사에 주력하였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후대의 기록이기는 하지만 [[정약용]]의 고손자인 [[정규영]]이 1921년 편찬한 『[[사암선생연보|사암선생연보(俟菴先生年譜)]]』에 [[정약용|다산]]의 외모에 대한 기록이 몇 가지 나온다.<br/>
 
{{blockquote
 
|1768년([[조선 영조|영조]] 44, 7세) 오언시를 짓기 시작했다. 천연두를 앓아 오른쪽 눈썹 위에 흔적이 남아 눈썹이 세 개로 나누어지자 스스로 호를 삼미자(三眉子)라고 했다. 『[[삼미자집]]』이 있는데, 이는 10세 이전의 저작이다.<br/>
 
1770년([[조선 영조|영조]] 46, 9세) 모친 [[정재원 처 해남 윤씨|해남 윤씨]]가 죽었다. 모친은 [[윤선도]]의 후손이다. [[윤선도]]의 증손인 [[윤두서]]는 [[정약용|다산]]의 외증조부가 된다. [[정약용|다산]]의 얼굴 모습과 수염이 [[윤두서|공재]]를 많이 닮았다. [[정약용|다산]]이 일찍이 문인들에게 말하기를 “나의 정분(精分)은 외가에서 받은 것이 많다.”라 하였다.
 
|출처 = 송재소, 『다산시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ref>송재소, 『다산시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ref>
 
}}
 
이러한 기록을 통해 [[정약용|다산]]의 얼굴에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로 수염과 눈썹의 모양을 특정할 수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초상에 묘사된 모습===
<정약용 초상>[[우안팔분면]]에 머리에는 [[사방관]]을 쓰고 청색 [[도포]]에 둥근 안경을 쓴 모습으로 그려졌다. [[정약용|다산]]이 입은 의복은 한국복식사의 권위자인 단국대 [[고부자]] 교수의 자문을 받아 당시의 의상을 재현했으며, [[도포]]의 쪽빛을 표현하기 위해 강진지역에 식생하는 쪽을 구해 천연안료를 만들어 사용했다. 눈썹의 모양이나 수염의 표현 등에서 『[[사암선생연보|사암선생연보(俟菴先生年譜)]]』에 나오는 [[정약용|다산]]의 외모에 대한 기록들을 수용한 모습이 모인다. 시력이 안 좋았다는 기록을 반영해 안경을 쓴 모습을 그린 점이 이채롭다.<ref>안현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630023 다산 정약용, 173년만에 초상화로 환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뉴시스』<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9년 04월 17일.</ref>
+
<이창운 초상> 관복본은 [[사모|오사모]]에 [[단령|흑단령]]을 입고 교의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이다. [[좌안팔분면]]에 공수자세를 취하고 있다. 해치 형태의 [[흉배]][[품대|삽금대]]를 하고 있는데, 해치 흉배는 호랑이 흉배와 함께 무신의 흉배이다.<br/>
 +
안면은 어두운 갈색 선으로 외곽선을 규정하고 자연스러운 발색법으로 입체감있게 표현되었다. 길고 좁은 얼굴형에 온화한 인상이다.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찬시]]에 나타난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0번째 줄: 3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정약용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이창운 초상(단령본)]]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정약용 초상]] || [[정약용]]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이창운 초상(단령본)]] || [[이창운]]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정약용 초상]] || [[김호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이창운 초상(단령본)]]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약용 초상]] || [[다산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이창운 초상(단령본)]] ||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정약용 초상]] || [[사암선생연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 || [[엄린]] ||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 A dcterms:creator B
 
|-
 
|-
| [[사암선생연보]] || [[정약용]]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 ||[[강세황]] || A는 B가 글씨를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사암선생연보]] || [[정규영]]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좌안팔분면]] ||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정약용]] || [[정규영]]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사모|오사모]] || [[이창운 초상(단령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우안팔분면]] || [[정약용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단령|흑단령]] || [[이창운 초상(단령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사방관]] || [[정약용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흉배]] || [[이창운 초상(단령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도포]] || [[정약용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품대|삽금대]] || [[이창운 초상(단령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68번째 줄: 59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2009년 || [[정약용 초상]]이 제작되었다.
+
| 1782년 || [[이창운 초상(단령본)]]이 제작되었다.
 
|}
 
|}
  
74번째 줄: 65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4.5757800||  126.7459590|| [[정약용 초상]]은 [[다산기념관]]에 소장되어있다.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단령본).jpg|[[이창운 초상(단령본)]]<ref>"[http://office.kbs.co.kr/mylovekbs/archives/239352 TV쇼 진품명품 (1TV, 4월 10일)]", 보도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KBS 공식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미술정보개발원, 작성일: 2016년 04월 08일.</ref>
 +
</gallery>
  
 
=='''주석'''==
 
=='''주석'''==
85번째 줄: 7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인용 및 참조===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99쪽.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03:29 기준 최신판


이창운 초상(단령본)
"TV쇼 진품명품 (1TV, 4월 10일)", 보도자료, 『KBS 공식 블로그』online, 한국미술정보개발원, 작성일: 2016년 04월 08일.
한자명칭 李昌運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782년
소장처 개인 소장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53×86㎝


정의

조선시대 무신인 이창운(1713∼1791)이 녹색 단령을 입은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창운의 초상화는 현재 관복본과 군복본이 함께 전하는 유일한 예이다. 이 중 관복본 초상화로 그림 우측 상단의 표제에 "함춘군이성유칠십세진(咸春君李聖猷七十歲眞)"이라고 쓰여 있어 1782년에 그려진 상임을 알 수 있다. 그 옆으로는 대사헌을 지낸 엄린이 짓고 강세황이 쓴 찬시가 쓰여 있다. 찬시에서는 무신이었으나 그 성품은 온화하면서도 강건했고 집안에서는 효를 나라에는 충성을 다했음을 읊고 있다. 초상화에는 그러한 유하면서도 강한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1]
<이창운 초상>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한다.[2] <이창운 초상> 관복본은 조선 후기 관복 전신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상으로 얼굴 피부의 자연스런 발색, 입체감 표현이 돋보이는 상이다. 의복 표현 역시 화려한 색으로 세밀하게 그린 흉배, 풍성하게 입체감을 드러낸 관복, 세필로 묘사한 표피의 표현 등으로 사실적인 묘사에 주력하였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창운 초상> 관복본은 오사모흑단령을 입고 교의에 앉아 있는 전신좌상이다. 좌안팔분면에 공수자세를 취하고 있다. 해치 형태의 흉배삽금대를 하고 있는데, 해치 흉배는 호랑이 흉배와 함께 무신의 흉배이다.
안면은 어두운 갈색 선으로 외곽선을 규정하고 자연스러운 발색법으로 입체감있게 표현되었다. 길고 좁은 얼굴형에 온화한 인상이다. 엄린찬시에 나타난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창운 초상(단령본)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창운 초상(단령본) 이창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창운 초상(단령본)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창운 초상(단령본)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 엄린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A dcterms:creator B
엄린의 이창운 초상(단령본) 찬시 강세황 A는 B가 글씨를 썼다 A ekc:calligrapher B
좌안팔분면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흑단령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흉배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삽금대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82년 이창운 초상(단령본)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99쪽.
  3. "TV쇼 진품명품 (1TV, 4월 10일)", 보도자료, 『KBS 공식 블로그』online, 한국미술정보개발원, 작성일: 2016년 04월 08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99쪽.